[ET] 홍콩 반환 25주년..'중국화' 가속 국제도시 운명은?

조성원 입력 2022. 6. 30. 18: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7월 1일은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지 25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홍콩은 최근 급격한 중국화와 함께 국제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오늘은 홍콩 경제의 현실을 짚어보겠습니다.

베이징으로 갑니다.

조성원 특파원.

우선 홍콩 경제 역시 코로나19로 타격이 상당할텐데요.

최근 상징적인 장면이 있었다고요?

[기자]

네 홍콩에서 관광 명물 역할을 하던 수상 해산물 식당이 있었습니다.

점보라는 곳입니다.

지금 보시는 중국 황실을 닮은 대형 식당인데요.

먼 바다로 끌려나가고 있습니다.

지난 40여년간 사람들로 북적이고 도둑들, 007 등 영화도 촬영한 명소가 수명을 다한 겁니다.

불경기에 코로나19까지 덮치자 2020년 3월 영업을 중단했는데 결국 인수자를 못찾았습니다.

그래서 이달 중순 동남아로 예인하기 시작한 건데 남중국해에서 그만 좌초됐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홍콩 경제의 쇠락을 상징하는 듯하다며 씁쓸해하는 홍콩 사람들이 많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지난 25년 동안 홍콩 경제의 변화가 궁금한데요.

주요 지표를 볼까요?

[기자]

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1997년을 기점으로 주요 지표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지난 25년간 GDP는 2배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연평균 GDP 증가율을 보면 반환 이전 25년 평균이 7.2%였는데 반환 이후 2.9%에 그쳤습니다.

실업률은 97년 2.2%였는데 지난해는 5.2%였습니다.

올해 1분기 실질GDP 기준 성장률은 오미크론의 영향 등으로 -4%에 그쳤습니다.

경제의 성숙도, 코로나19 타격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활력이 떨어진 것은 분명해보입니다.

[앵커]

무엇보다 최근 몇년간 급속히 진행중인 정치적 변화와 이른바 중국화가 홍콩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던데요.

[기자]

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될 때 적어도 50년은 보장한다는 원칙이 있었습니다.

중국과는 다른 체제를 인정한다는 이른바 일국양제입니다.

그런데 2019년 홍콩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 이후 중국 정부의 대응이 확 바뀌었습니다.

홍콩 보안법을 통과시킨 뒤 이른바 범민주 세력이 줄줄이 구속되고 '애국자가 다스리는 홍콩' 구호 속에 선거 제도를 바꿔 홍콩 의회도 친중파가 석권했습니다.

최고위직인 신임 행정장관에는 시위 진압을 책임졌던 경찰 출신이 베이징의 의중에 따라 경쟁 없이 당선됐습니다.

[존 리/차기 홍콩 행정장관 : "홍콩은 사람들이 일상 업무에 종사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장소로 남을 것입니다. 안정 없이는 번영도 없으니까요."]

여기에 아직도 입국자 격리를 유지할 정도로 강력한 코로나 방역 정책을 고수합니다.

연초 홍콩의 유럽 상공회의소가 조사했더니 홍콩 진출 기업의 절반 가까이가 이전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습니다.

홍콩 보안법의 여파로 홍콩인들이 떠나고 강력한 방역 정책 때문에 외국인들이 떠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래서야 홍콩이 국제 금융허브 위상을 유지할 수 있겠냔 말이 나옵니다.

[앵커]

그런데 홍콩을 포함한 주변 일대를 대규모로 개발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요?

[기자]

네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 계획이란 프로젝트입니다.

3년 전 청사전이 발표된 이래 최근 구체적인 개발 계획이 나옵니다.

웨강아오에서 웨는 광둥성을, 강은 홍콩을, 아오는 마카오를 뜻하는데요.

따라서 광둥성과 홍콩, 마카우를 아우르는 대규모 연안 지역이란 뜻입니다.

이 일대를 단일 경제권으로 묶고 홍콩과 본토의 금융시스템과 연계해 첨단 산업 단지를 조성한다는게 중국 정부의 구상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 홍콩을 발판으로 중국 도시들은 발달하겠지만 홍콩은 차별성과 국제적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고 홍콩 야당들은 우려했습니다.

이미 홍콩의 대규모 사업을 중국 기업들이 휩쓸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홍콩의 경제력을 흡수하려는 시도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홍콩 반환 25주년을 맞아 시진핑 주석이 직접 홍콩을 찾았는데요.

코로나19 상황에서 이례적 행보입니다.

홍콩 통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조성원 기자 (sungwonc@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