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한끼 1만원 '런치플레이션'..식비에 신음하는 2030

2022. 6. 30. 1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점심으로 고작 제육덮밥 하나 시켰는데 9천원이 세상에 말이 되나요."

대학원생 김민정(26) 씨는 요즘 한 끼 식사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묻자 이렇게 말했다.

여의도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신모(28)씨는 "일주일에 한 번은 도시락을 싸 오는데 한 끼에 3천∼5천원은 절약할 수 있다"며 "주 2∼3회씩 도시락을 가져와 '도시락 마스터'라고 불리는 동료도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6일 서울 시내 한 점심뷔페 식당이 직장인들로 붐비고 있다. 이 식당 가격은 7천원이다. '런치플레이션'이란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외식 물가가 오르면서 저렴한 식당이나 편의점 도시락이 인기다. [연합]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점심으로 고작 제육덮밥 하나 시켰는데 9천원이 세상에 말이 되나요."

대학원생 김민정(26) 씨는 요즘 한 끼 식사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묻자 이렇게 말했다.

김씨는 "조금씩 밥값이 오르고 있는 건 알았지만, 8천원대와 9천원대는 체감상 너무 달랐다"며 "커피도 2천원대 저렴한 커피만 찾아 마셨는데 그곳도 결국 가격을 올려 점심에만 만원을 넘게 쓰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최근 치솟는 물가에 '한국이 일본이 된 것 같다'는 반응까지 등장했다. 30일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도쿄 이치란에서 알바할 때와 요즘 한국이 비슷하다", "아직도 우리보다 일본 물가가 비싼 편인 게 맞냐"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고물가에 '런치플레이션'(lunchflation·런치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이라는 신조어까지 쓰이면서 편의점 음식으로 한 끼를 때우거나, 도시락을 챙겨와 식대를 줄이려는 모습도 낯설지 않게 됐다.

서울 시내 음식점 거리. [연합]

여의도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신모(28)씨는 "일주일에 한 번은 도시락을 싸 오는데 한 끼에 3천∼5천원은 절약할 수 있다"며 "주 2∼3회씩 도시락을 가져와 '도시락 마스터'라고 불리는 동료도 있다"고 말했다.

다 같이 모여 식사하는 회사 분위기상 도시락을 싸 오기 쉽지 않은 직장인들도 있다. 편의점 도시락으로 때우다 보니 건강이 걱정되기도 한다.

자취를 하는 직장인 이서영(29)씨는 "물가가 비싸니 도시락 생각은 항상 하고 있지만, 회사 사람들 눈치가 보인다"며 "한두 명이 먼저 해주면 분위기가 조성될 텐데 내가 먼저 나서기는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최근 편의점에서 끼니를 자주 해결하고 있다는 송윤호(28)씨는 "도시락만 먹으니 나트륨도 걱정되고 영양 불균형도 걱정된다. 물가만 내려가면 다시는 편의점 도시락을 안 먹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식대를 바로 줄이기 어려운 직장인들은 약속 횟수를 줄이거나 다른 소비 비중을 줄이고 있다.

서울 노량진 컵밥거리의 한 가게 메뉴가격이 수정되어 있다. 상인들은 치솟은 물가 여파로 재료비가 오르며 컵밥 가격을 인상했다고 전했다. [연합]

교사 박모(26)씨는 "한 달 식비 예산을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올렸다"며 "밖에서 밥을 아예 안 먹을 순 없으니 식비 예산을 꼭 맞추되 나머지 날은 약속을 안 잡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당분간 고물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주 한국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당초 4.5%에서 4.7%로 수정했다.

인상된 최저임금이 물가를 더 끌어올리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전날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9천160원)보다 5% 오른 9천620원으로 의결했다.

3개월째 카페에서 아르바이트하는 송모(22)씨 "사실 최저임금보다는 주휴수당이나 야간수당을 더 잘 챙겨 받을 수 있게 되길 바랐다"며 "임금이 오른 만큼 물가가 따라 오를까 봐 무섭다"고 말했다.

직장인 백모(30)씨는 "대체 얼마나 더 오를 수 있다는 건지 모르겠다"며 "최대한 허리띠 졸라매면서 어떻게든 버텨봐야지 별수 있겠냐"고 씁쓸해했다.

dod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