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기업은행, '기술금융' 실적 우수 평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이 지난해 하반기 기술력 높은 혁신 중소기업에 대출‧투자하는 '기술금융'에서 우수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은 기술금융 공급 시 보증·담보가 아닌 순수신용대출 중심으로 확대하고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다.
금융위는 은행 간 공정경쟁 환경 확보 및 혁신분야 자금공급 확대를 위해 개정된 기술금융 실적 평가 지표를 올해 상반기부터 적용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이 지난해 하반기 기술력 높은 혁신 중소기업에 대출‧투자하는 ‘기술금융’에서 우수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금융은 부동산담보‧신용도가 부족한 중소기업이더라도 기술력만 있으면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금융 지원하는 것이다.
30일 금융위원회가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을 평가한 결과, 대형은행 중에서 하나은행이 1위를 차지했다. 2년 만에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하나은행은 기술금융 공급 시 보증·담보가 아닌 순수신용대출 중심으로 확대하고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다. 하나은행의 순수신용대출 잔액 비중은 34.3%로, 대형은행평균인 29.7%보다 높았다. 창업기업 잔액 비중역시 55.3%로 평균 46.1%를 웃돌았다.
하나은행에 이어 기업은행이 2위를 차지했다.
소형은행 가운데에서는 광주은행과 부산은행이 우수 평가를 받았다. 광주은행은 기술력 높은 창업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기술신용(TCB)평가에 따른 기술기반 투자 등을 중점적으로 확대해 금융위의 실적 평가 실시 이후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금융위는 은행 간 공정경쟁 환경 확보 및 혁신분야 자금공급 확대를 위해 개정된 기술금융 실적 평가 지표를 올해 상반기부터 적용한다. 기술신용대출 누적 규모 외에도 은행별 ‘노력도’를 강조한 ‘증가율’ 지표를 확대해 후발은행의 기술금융 확대를 지속 유도할 계획이다.
한편, 올해 5월 말 기준 기술금융대출 잔액은 339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316조4000억원에 이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세계 최고 수준인 '北 해킹'… 韓 경찰에 딱걸린 '이 단어'
- 밀짚모자 쓰고 직접 '이앙기' 몬 尹, 그 이유 따로 있었다
- 전설의 서울대 투자 동아리… 뭔가 다른 그들의 '비법'
- 소프트웨어 늘어난 車, 툭하면 “업그레이드 하세요”
- 에어컨 시장의 '새 바람'… "설치도 쉽고 가격도 저렴해"
- “한전공대는 놔두고 왜 임금 깎나”… 한전 직원 반발
- 5년 뒤 시속 400㎞ 고속철 시대… 소음·진동 잡는 게 과제
- [르포] “풍선효과만 만들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에 반발 커져
- “서울에 이렇게 예쁜 곳이” 외국인·시민들 감탄한 청와대 야간개장 첫날
- '강세' 韓 점유율마저 추락한다… 저물어가는 'MS 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