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갑·민제호·한흥교, 7월 독립운동가 선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립기념관(관장 한시준)은 국가보훈처, 광복회와 공동으로 동제사에서 활동했던 김갑·민제호·한흥교 선생을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독립기념관에 따르면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자 국외로 망명해 1912년 중국 상하이에서 신규식을 중심으로 박은식·신채호·조소앙 등이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해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관장 한시준)은 국가보훈처, 광복회와 공동으로 동제사에서 활동했던 김갑·민제호·한흥교 선생을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독립기념관에 따르면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자 국외로 망명해 1912년 중국 상하이에서 신규식을 중심으로 박은식·신채호·조소앙 등이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해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경상도 지역의 첫 비밀결사인 대동청년단에 참여하기도 했던 김갑은 상하이로 망명 후 동제사 회원이 된 후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세워지자, 임시의정원 경상도 대표의원과 노동총판, 재무장 등을 역임했다.
임시정부와 함께 독립운동에 헌신한 김갑은 1933년 44세의 나이로 서거, 정부는 김갑의 공적을 기려 1986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다.
1913년 상하이로 망명한 민제호는 동제사에 참여해 1919년부터 1929년까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을 지내고 대한적십자회, 상하이 대한인 거류민단을 통해 임시정부를 지원했다.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일제의 탄압을 피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같이 항저우로 피신하던 중 병을 얻어 1932년 42세의 나이로 서거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한흥교는 일본 오카야마(岡山) 의학전문학교를 졸업 후 1911년 상하이로 망명해 동제사 조직에 참여하면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의료를 도맡았다. 광복 후 고국으로 돌아와 의료활동을 이어나간 한흥교는 1967년 82세로 서거했으며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독립기념관은 1~31일까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에서 이들의 사진 등 10점을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이종익 기자 007news@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수홍 측 “아내·다홍이 루머 거짓 입증… 김용호 검찰 송치”
- ‘언더붑’ 대항마?… 사타구니 휑한 패션, 환호와 경악 사이 [넷만세]
- 생후 4개월 아기 눈에 순간접착제 뿌린 여성 ‘징역형’
- “11000원 돈가스 팔아서 ‘42원’ 정산 받았습니다”
- 3m 다이빙… 선수 출신 50대 ‘중요부위’ 잃었다
- “알바 할래?” 여고생 꾀어 성매수한 78세 법정구속
- “차 에어컨서 썩은 ×냄새”…필터 꺼냈더니 독사가 툭
- ‘천재 골퍼’ 리디아 고, 현대가 며느리 된다
- 동료 텀블러에 체액 테러男 ‘재물손괴’ 변명 안 통했다…법원 “해고 정당”
- 잠수교 레깅스女…소속사 생겨 드라마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