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使 모두 반발하는 최저임금 9620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9620원으로 의결하자 노사 양측이 수용을 거부한 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이후 8년 만에 법정시한(29일) 내 심의를 마쳤지만, 이번에도 노사 합의 없이 일부 위원의 퇴장 속에 공익위원이 제시한 액수를 표결로 결정하는 방식이 재현됐다.
전문가들은 최저임금 액수를 두고 매년 노사가 수용을 거부한 채 대립과 갈등만 되풀이하는 현행 최저임금 결정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총 “소상공인 현실 외면”
민노총 “실질임금 삭감안”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9620원으로 의결하자 노사 양측이 수용을 거부한 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이후 8년 만에 법정시한(29일) 내 심의를 마쳤지만, 이번에도 노사 합의 없이 일부 위원의 퇴장 속에 공익위원이 제시한 액수를 표결로 결정하는 방식이 재현됐다. 전문가들은 최저임금 액수를 두고 매년 노사가 수용을 거부한 채 대립과 갈등만 되풀이하는 현행 최저임금 결정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업종별 최저임금 차별화 문제는 올해 최저임금위에서 거론조차 하지 못했다.
30일 고용노동부는 “2023년 적용 최저임금안 시간급은 9620원으로 올해 최저임금(9160원)에 비해 460원 인상된 수준(5.0% 인상)으로 결정됐다”며 “최저임금안의 근거는 2022년 경제성장률 전망치(2.7%)+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4.5%)-2022년 취업자증가율 전망치(2.2%)”라고 밝혔다.
노사 모두 최저임금 액수를 두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입장문을 통해 “코로나19 여파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중고가 겹치면서 더 이상 버티기 힘든 중소·영세기업과 소상공인들의 현실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비판했으며, 박희은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5%는 실제 물가 인상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안으로, 결국 임금 인상이 아니라 동결을 넘어 실질 임금이 삭감되는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s ⓒ 문화일보 & www.munhw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체교섭 형식으로 결정되는 최저임금… 파행 반복 불가피”
- 박지원 “바이든의 ‘노 룩 악수’? 아마 DJ가 제일 많이 했을 것”
- 질 바이든, 김건희 여사에게 “Just be yourself” 조언
- 삼성전자, 세계 첫 ‘3나노 반도체’ 양산…TSMC ‘맹추격’
- [속보]잠수교·동부간선도로 운행 전면 통제…수도권 호우 경보
- 김정은 가장 두려워하는 F-35 20대 추가도입 급물살…방추위 분과위 의결
- 하니·양재웅, 10살차 넘은 공식 연인…“좋은 만남 갖는 中”
- 폴란드 대통령에게 홍보책자 직접 건네며 ‘원전 세일즈’
- 나토 홈페이지 ‘눈감은 尹’사진 게재에 대통령실 “사진교체 요청”
- 박지현 ‘유나 양 가족 사건’에 “이런 일 벌어질 동안 정치는 뭐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