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자가 국민연금 보험료 다시 내면 50% 정부 지원
사업중단·실직 등을 이유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다가 다시 내기 시작하면 보험료의 절반을 1년 동안 지원하는 제도가 7월1일부터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30일 “7월1일부터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중 사업중단·실직·휴직으로 인한 납부예외자에게 연금보험료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납부예외자가 7월1일 이후 보험료를 다시 내기 시작하면 한 달 보험료의 50%, 최대 4만5000원을 최장 1년 동안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3개월치를 지원받은 뒤 소득이 생겨 지원이 중단됐더라도, 나중에 다시 소득이 없어져 납부예외자가 됐을 때 나머지 9개월치를 지원받을 수 있다. 기존에 국민연금 보험료를 낸 적이 없어도 현재 납부예외자라면 누구나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만 토지·주택 등 재산 6억원 미만, 사업·근로소득을 뺀 나머지 소득 1680만원 미만 등 기준에 들어야 한다. 다른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제도인 ‘실업크레딧’ ‘농어업인 보험료 지원’과는 같은 기간에 중복해서 신청할 수 없다.
복지부는 “지역가입자는 사업장가입자와 달리 보험료 전부를 본인이 부담하고, 사업중단·실직 등으로 소득이 없어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는 비율이 높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지역가입자에 대한 지원이 확대돼 보다 폭넓게 국민연금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험료 지원 신청은 국민연금공단 전국 지사 방문·우편·팩스를 통해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1355(국민연금 콜센터)와 전국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반성도 안 하는데 왜 굽히나”…尹 지지자도 등 돌렸다
- 김건희 도이치 계좌 모른다, 모른다···권오수를 가리키는 진술들
- ‘박수홍♥’ 김다예, 법무법인 팀장 됐다…명함 공개
- 연 9.4% 이자에도…긴급생계비 대출 상담 예약 첫날 문의 폭주
- “윤석열 정부 굴종 외교”…TK 지식인도 비상시국선언
- 탈북 외교관 “김주애 등장 후 김여정·리설주 권력암투”
- “조기 교육”이라며 생후 1개월 아들 안고 대마 연기 내뿜은 아빠
- 원주서 ‘음주 운전’ 딸 SUV에 60대 어머니 치여 사망
- “뺑뺑이만 2만보”“주말 롯데월드냐”···동원예비군 리오프닝에 ‘헬’
- ‘선 조치 후 일 호응’만 반복…“국민 믿는다” 23분 일방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