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기 불량한 환경에서 3D 프린터 사용, 암 발병 연관성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형외과 주민욱 교수팀이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곳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한 교사들에게 발생한 육종 증례를 분석하여 연구 논문으로 보고했다.
육종은 희귀암 중 하나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일부 유전적 혹은 환경적 요인이 육종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지만 대부분은 그 원인을 알 수 없고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주 교수팀은 고등학교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한 후 육종을 진단받은 교사 3명에 대한 의무기록과 업무 환경에 대한 진술 등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했다. 각각 유잉 육종, 악성 말초 신경초 종양, 지방육종을 진단받은 3명의 교사가 공통된 특이 환경에 노출되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육종을 진단받은 교사 모두 최소 2년 이상, 하루에 2~10시간 이상 환기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환경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했다. 최대 4~10대의 3D 프린터를 동시에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3 명의 교사 모두 특이 과거력이나 가족력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3D 프린터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필라멘트를 고온에 녹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입체 조형물을 만드는 장치이다. 앞선 여러 연구에서 필라멘트가 고온에서 녹는 과정 중 유해한 입자들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배출이 보고되어 잠재적인 건강 위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주 교수는 “아직 3D 프린터 사용과 육종 발병의 연관성을 명확히 입증할 수는 없다”면서 “하지만 3명의 교사 모두 오랜 시간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공간 내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등 공통적인 환경에 노출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교사와 학생을 위한 보호 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효순 기자 anytoc@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일본에 선물만 안겼다···기시다 지지율만 올라
- 천하람 “포괄임금제 95%는 무효···정반대 방향으로 가야”
- ‘5월 결혼’ 세븐, ♥이다해에 “책임감 느끼고 살겠다”
- “문재인 전 대통령, ‘이재명 외 대안 없다’” 전언, 진짜인가
- 윤 대통령 “연장근로해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
- 유승민 “윤 대통령 방일 외교 자랑 한심”
- 일본의 과거사 퇴행 길 열어준 윤 대통령의 ‘덮어놓고 미래로’
- ‘상가 64채’ ‘대지 170억’ 대통령실 참모들은 땅부자
- 김용 “돈 언제 줬냐” 유동규 “받은 사람이 더 잘 아실 것”…법정서 공방
- “게임 끊고 레고도 팔았어요”…부모님 몰래 공원 찾은 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