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상가·야외장소 위치 찾기 쉬워진다".. 경기도, 주소정보 확충
#수원역 지하철역 물품보관함 앞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는 119 신고가 접수됐다. 출동한 소방관은 복잡한 역사 구조 때문에 정확한 환자 위치를 찾지 못해 ‘골든타임’을 놓칠까 걱정했다.
앞으로 경기지역에서는 주소가 없는 지하상가나 야외장소에도 주소가 부여돼 쉽게 찾아갈 수 있게 된다.
경기도는 현재 118만5000여개인 주소정보를 2026년까지 건물 내부·숲길·사물까지 포함, 두배 이상으로 확충하는 내용의 ‘제1차 경기도 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2022년~2026년)’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건물·도로 중심의 기존 주소체계를 보완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과 결합한 미래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도로명주소법 전면 개정’ 이후 행정안전부가 마련한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다. 개정된 도로명주소법은 도로·건물 중심으로 부여됐던 건물 주소를 고가·지하 입체도로, 건물 내부도로, 숲길, 농로 등 도로명이 없는 곳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촘촘하게 연결된 주소정보 확충, 주소 지능정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생태계 조성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했다. 지상도로 중심이던 도로는 입체도로, 내부도로, 건물 실내 이동경로 등으로 나눠 주소정보를 부여하기로 했다. 지하철역 화장실, 물품보관함, 소화전 등에는 사물주소를 부여해 응급환자 발생시 위치 파악을 통해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농가 비닐하우스 등에도 배달할 수 있도록 주소정보를 부여하고, 주차장·장애인 출입구에 관한 정보를 구축해 주소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기존 건물주소 체계에서도 상세주소(도로명주소 뒤에 표시하는 동·호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보행로 내비게이션을 사용할때 아파트나 상가 출입구를 넘어 계단, 승강기, 복도, 방문 앞까지 안내할 수 있어 자율주행로봇이 무인택배함에서 문 앞까지 택배를 배달해주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주소정보를 확충할수록 드론 배송, 로봇산업, 실내 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연계성이 강화돼 도민의 생활 편의도 향상할 것”이라며 “디지털시대에 맞는 주소정보를 구축해 이를 활용한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자동차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블랙핑크 한·미 정상회담 만찬 공연 무산···대통령실 “방미 일정에 없다”
- [단독]검찰, 박영수 ‘200억 상당’ 대장동 땅·건물 요구 자료 확보
- “황영웅, ‘더글로리’ 손명오 같아···약한 친구만 괴롭혀” (실화탐사대)
- [위근우의 리플레이]‘더 글로리’와 ‘세치혀’가 ‘집이 없어’에게 배워야 할 것
- 이수만 “SM, 오늘로 한 시대 마감···나는 미래 향해 갈 것”
- 겉옷 벗어 5월 영령 묘비 닦은 전두환 손자…5·18 유족 “화해의 길 나아가자”
- “물가폭탄에 캐리어 끌고 천안서도 와요”…‘서민들의 성지’ 경동시장 가보니
- 타일러·줄리안, 연예기획사 창업···“수익 배분 9대1, 연예계 패러다임 바꿀 것”
- 반포고 최근 5년간 ‘강제전학’ 삭제는 정순신 아들뿐
- 북한 무인기 잡으려다 추락한 KA-1 “정비불량·상황판단 미흡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