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비중 한달새 50.4→59.5%..서울 미분양 2배 증가
전국 주택임대차 시장에 월세비중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총 40만4036건으로, 이 가운데 월세가 59.5%(24만321건)를 차지해 전세 거래량(16만3715건)을 크게 앞선 것으로 집계됐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4월에 50.4%(25만8318건 중 13만295건)를 기록해 정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전세 비중을 넘어섰는데 불과 한 달 만에 비중이 9%포인트까지 상승한 셈이다.
올해 1∼5월 누적 거래 기준으로도 전체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비중이 51.9%에 달해 전달(48.7%)보다 3.2%포인트 오르며 처음으로 누적거래량도 전세 비중을 넘어섰다.
월세 비중이 늘어난 것은 2020년 7월 도입된 임대차 3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함께 지난해 6월 전월세 신고제가 본격 시행된 이후 그동안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계약 신고가 늘어난 것도 월세 비중이 확대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정부가 대출규제 완화 기조를 보였으나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미분양 물량은 쌓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달보다 0.7% 증가한 2만7375가구로 파악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3563가구로 전월 대비 20.0% 증가했다. 지방은 전월대비 1.6% 감소했지만 전체 미분양이 2만3812가구에 달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688가구로 전월(360가구)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경기는 2449가구로 14.1% 증가했고, 인천은 426가구로 전월 대비 8.2% 줄었다.
건물이 완공된 뒤에도 주인을 찾지 못하는 ‘준공 후 미분양’은 6830가구로 전월 대비 2.1% 감소했다.
5월 전체 매매량을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가 3만7124건으로 전월 대비 4.1%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9.8% 감소했다. 아파트 외 주택(2만6076건)은 전월 대비 14.7% 늘었고,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7.3% 감소했다.
5월 전국 주택 착공 규모는 3만49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1.8% 감소했다. 수도권은 1만3059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32.0% 줄었고, 지방은 1만7435가구로 47.5% 감소했다.
아파트 착공 실적(2만402호) 역시 1년 전보다 23.5%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1만74호)은 60.8%까지 큰 폭으로 감소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주 69시간’에 전 세계 놀랐다…잇따라 외신보도
- 치킨 배달시키면 3만원?···교촌치킨 다음달 최대 3000원 오른다
- [단독]현주엽 측, 학폭 폭로자 변호인 고소했으나 무혐의 처분
- 방석 덮고 ‘플랭크 자세’로 14분 압박…9개월 영아 사망 학대 영상 공개
- 부산 달맞이고개 갔던 ‘붉은여우’, 고향 돌아오다 ‘객사’
- 장제원, 선관위 총장에 “이석하셔야죠” 해놓고 이석한다고 ‘호통’
- ‘정순신의 덫’ 국수본부장 공석 한 달···결국 윤심·용심이냐
- 이민자 반기는 캐나다, 1년만에 인구 105만명 ‘기록적 증가’
- 김건희 도이치 계좌 모른다, 모른다···권오수를 가리키는 진술들
- “반성도 안 하는데 왜 굽히나”…尹 지지자도 등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