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나선 맥도날드가 '보성 녹돈' 꺼내든 까닭
한국형 버거 '상생 이미지·프리미엄화' 노려
매각 앞둔 한국 맥도날드..현지화 전략 박차
한국 맥도날드가 '현지화 버거'를 다시 소환했다. 지난해 '창녕 갈릭 버거'를 선보인데 이어 이번에는 '보성 녹돈 버거'를 들고 나왔다. 한국 맥도날드가 현재 추진 중인 'Taste of Korea(한국의 맛)'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고품질의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해 '한국형 햄버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현지화를 앞세워 '상생 이미지'와 함께 '프리미엄화'까지 챙기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맥도날드는 이번 보성 녹돈 버거 출시를 통해 현지화 전략 확대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다. 단순 고품질 신메뉴를 출시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메뉴 개발에 집중한다. 지역 농가의 식재료를 활용하는 것은 물론 메뉴 개발과 밀착 마케팅도 이어갈 예정이다.
그냥 패티 아닌…보성 '녹돈' 패티
보성 녹돈 버거는 '한국의 맛' 프로젝트 2탄으로 기획됐다. 전라남도 보성의 녹차잎 사료로 키워낸 녹돈 패티가 특징이다. 맥도날드는 주로 패티 제조에 수입 소고기를 쓴다. 이점을 감안하면 국내산 돼지고기는 이례적인 선택이다. 돼지고기 선호도가 높은 한국인의 입맛을 반영한 결과라고 맥도날드는 설명했다. 이 때문에 조리법도 일반 버거와 다르다. 녹돈 본연의 맛을 살리기 위해 초고온 그릴 방식을 도입했다. 부재료도 돼지고기의 식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양배추와 적양파를 사용했다.
메뉴에는 '상생의 가치'도 담겼다. 지역 농산물을 대거 활용했다는 게 맥도날드의 설명이다. 특히 보성 녹돈은 잡내가 적어 국내에서도 프리미엄으로 평가받는 돈육이다. 맥도날드는 이번 신메뉴 출시를 위해 보성 녹돈 140톤을 수급했다. 양배추와 적양파, 토마토 역시 국내산이다. 앞서 창녕 갈릭 버거 출시 때도 맥도날드는 42톤에 달하는 마늘을 지역 농가에서 수급했다.
맥도날드는 보성 녹돈 버거를 한달 간 한정 판매할 계획이다. 이 기간 특별 마케팅 캠페인도 전개한다. 다음달 중 보성에서 팝업 스토어를 열고 녹돈 버거를 홍보에 나선다. 맥도날드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상생 커뮤니티 활동도 진행한다. TV광고에는 보성 지역 농부들이 직접 출연한다. 향토 민요 콘셉트의 '스르르 타령'으로 보성 녹돈 버거의 맛을 표현하는 콘셉트다. 맥도날드는 이 같은 활동을 통해 제품의 품질을 강조하고, 국내 생산자와의 상생 의지를 표현해 나갈 예정이다.
직접 먹어보니…'탱탱한' 조직감
지난 29일 오전 '보성 녹돈 버거'를 직접 먹어보기 위해 맥도날드 신사역점을 찾았다. 매장 입구부터 원산지와 조리 과정을 소개하는 포스터들이 가득했다. 포장지를 뜯자마자 고소한 치즈 향이 확 풍겼다. 참깨가 박힌 두툼한 빵도 인상적이었다. 맥도날드의 대표 메뉴인 '빅맥'보다 조금 크거나 비슷했다. 한입 베어물자 치즈의 눅진함과 고기의 육즙이 그대로 느껴졌다.
녹돈의 참맛을 느끼기 위해 패티만 따로 먹어봤다. 일반 패티보다 짠맛이 조금 강했다. 인상적인 것은 '식감'이었다. 입안에서 부서지는 고기의 조직감이 다른 패티와 달랐다. 탱탱하게 씹히는 맛이 강력했다. 그릴로 구워서인지 고기 본연의 맛이 깊다고 느꼈다. '과연 어울릴까' 의심했지만 양배추와의 조화도 일품이었다. 아삭함이 고기의 식감을 더 도드라지게 했다. 중간중간 새어 나오는 토마토의 달큰함과 베이컨의 고소함도 잘 어우러졌다.
백미는 소스다. 자칫 느끼할 수 있는 부분을 '스파이시 치즈 소스'가 잡아준다. 이외에도 알싸한 '카옌 페퍼'가 물리는 느낌을 최소화해줬다. 체다 치즈가 가져다주는 '꾸덕함'도 맛있었다. 한국인이 선호하는 '깔끔한 매운맛'이 인상적이었다. 아쉬운 점은 양배추 조각이 먹을 때마다 과하게 흘러내렸다. 이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가격 대비 나쁘지 않은 느낌이었다. 단품 6300원, 세트 7600원이다. 이 정도 품질이면 다시 한번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맥도날드 '현지화' 적극적인 이유
맥도날드는 '상생 이미지'와 '프리미엄화'를 위해 현지화를 전면에 내세웠다. 현지화 전략 이면에는 맥도날드의 '위기 의식'이 깔려있다. 현재 국내 햄버거 시장은 가성비와 프리미엄으로 양분되고 있다. 기존의 가성비 이미지만으로는 생존을 보장받을 수 없다. 위에서는 '고든램지버거', '슈퍼두퍼', '파이브가이즈' 등 외국 프리미엄 버거의 압박이 거세다. 아래에서는 '맘스터치', '노브랜드버거' 등 현지 경쟁자들이 계속 치고 올라오고 있다.
맥도날드는 지난해부터 햄버거 품질을 높이는 '베스트 버거' 전략을 취하고 있다. '가성비 이미지'를 희석시키려는 시도였다. 고품질에는 좋은 재료가 필수적이다. 맥도날드는 이를 '현지화'라는 비책으로 풀어내고 있다. 상생 이미지도 노리면서 고급 식재료 수급까지 늘린다는 복안이다. 실제로 한국 맥도날드는 지난해 전국 각지에서 국내산 식자재를 총 3만8846톤 수급했다. 닭고기 2만9512톤, 돼지고기 2750톤, 계란 1776톤, 양상추 2614톤, 토마토 1806톤, 양파 388톤 순이다.
품질 개선에 성과도 따랐다. 베스트 버거 전략과 현지화 마케팅이 잘 맞아 떨어진 결과다. 맥도날드는 지난해 한국 진출 이후 최대 매출을 거뒀다. 한국 맥도날드의 지난해 매출은 8679억원이었다. 전년 대비 9.7% 증가했다. 가맹점 매출까지 더한다면 전체 매출은 1조원으로 추정된다. 영업적자 규모도 매년 줄어들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호실적을 거뒀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현지화 작업은 최근 미국 맥도날드 본사의 한국 사업 매각과도 무관치 않다. 맥도날드는 지난 2006년부터 현지 사업자에게 사업 총괄을 맡기는 방식으로 사업 구조를 바꾸고 있다. 미국 본사는 로열티만 받는 방식이다. 한국 맥도날드 입장에서는 앞으로 현지화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상생의 가치도 담으면서 프리미엄인 '한국형 버거'가 앞으로 효자 메뉴로 재조명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것이 맥도날드가 이 시점에서 '보성 녹돈 버거'를 꺼내든 이유다.
한전진 (noretreat@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