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오늘] 다이얼 '9'를 세 번 돌려야 하는 시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이 1937년 6월 30일, 세계 최초 긴급전화 '999'를 개통했다.
당시 다이얼식 전화기로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9'를 세 번이나 연이어 돌리게 한 이유에는 '정설'이 있다.
그 이유가 납득되지 않는 이들도 있겠지만, 이후 한국(119), 미국(911) 등 거의 모든 나라가 긴급전화 번호에 숫자 '9'를 포함시킨 것을 보면, 다이얼시대의 저 취지에 공감한 이들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이 1937년 6월 30일, 세계 최초 긴급전화 ‘999’를 개통했다. 당시 다이얼식 전화기로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9’를 세 번이나 연이어 돌리게 한 이유에는 ‘정설’이 있다. 화재 등 긴급 상황에서 신고자가 너무 흥분한 나머지 화재 현장 주소 등 주요 정보를 누락하지 않도록, 다시 말해 다이얼이 돌아가는 동안 심호흡이라도 하라는 의미였다는 것이다. 그 이유가 납득되지 않는 이들도 있겠지만, 이후 한국(119), 미국(911) 등 거의 모든 나라가 긴급전화 번호에 숫자 ’9’를 포함시킨 것을 보면, 다이얼시대의 저 취지에 공감한 이들이 많았던 모양이다.
우주로켓 발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카운트다운(count down)’을 하는 이유에는 ‘정설’이 없다. 구글 검색으로도 설득력 있는 답변은 찾지 못했다. 발사 책임자를 비롯한 다수가 마음 졸일 그 마지막 100초 또는 10초 동안에도 기계들은 이미 설정된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전개한다. 전원이 잇달아 연결되고 로켓 외부의 미시적 조건들과 내부 압력과 기능들이 최종적으로 자동 점검되고, 주엔진이 점화된다. 그 중요한 10초의 공정이 ‘카운트다운’ 형식으로 전개되는 까닭을 누구는 현장 기술자들의 안전을 위해서라고도 설명했다.
기술적 의미보다는 ‘공연’의 의미일지도 모른다. 하이라이트를 알리는 쇼 진행자의 격한 외침 같은 의미. 안전과 성공을 위한 마지막 기도·기원의 시간일 수도 있다. 유인우주선이라면 승무원에게 그 10초의 시간은 선불교에서 말하는 ‘몰아(沒我)’의 경지에 가까울 것이다. 알려진 바, 구소련 연방우주국(Roscosmos)은 모든 준비와 점검이 완료되면 발사책임자(launch commander)가 ‘스타트’란 외침과 함께 점화 키를 돌리는 게 전부였다고 한다.
우리 로켓 누리호(KSLV-II)가 6월 21일 마지막 카운트다운을 거쳐 성공적으로 우주로 나아가 궤도 안착에 성공했고, 한국은 세계 7번째 우주발사체 기술 보유국이 됐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조유나양 일가족 극단적 선택한 듯... "코인 투자 큰 손실"
- '첫 악수'냐 '노룩 악수'냐... 나토 윤석열-바이든 악수에 와글와글
- EXID 하니, 10세 연상 정신과 의사 양재웅과 열애
- '패션스타' 스페인 왕비 만난 김건희 여사 "우린 동갑, 한국 오시라" 친밀감
- 조민아, 이혼 소장 제출 "사유 하나하나 밝히기 어려워"
- 조유나양 35일이나 '교외 체험학습'... '묻지마 승인' 언제까지
- "푸틴이 이기면 한국도 위험하다"... 우크라 교수의 경고
- 검찰 인사 후폭풍... 한직 밀려난 중간간부들 줄사표
- 한국 콕 찍은 중국 "대가 치를 수 있다"... 나토 갈라치기
- "실거주하려니 나가라" "못 믿겠다" 임대차 3법 '소송 대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