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년만의 한미일 정상회담, 북핵 공조 복원하고 한일관계 길 터야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7년 9월 유엔 총회 때 문재인 전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아베 신조 전 총리가 회담을 가진 지 4년 9개월 만이다. 세 정상은 북한의 잇단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방침을 밝히고 북의 핵무기 자금원을 차단하는 방안도 논의했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 평화 쇼와 반일 몰이로 퇴조했던 한·미·일 삼각 공조가 5년 만에 다시 가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동안 한·미·일 안보 협력 체제는 악화됐다. 문재인 정권의 한일 합의 파기 등 반일 몰이가 촉발한 사태다.
북한은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쏘고 7차 핵실험도 준비하고 있다. 미·중 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 질서는 재편되고 있다. 북·중·러의 밀착도 갈수록 심화할 것이다. 이에 대응해 우리 경제·안보를 굳건히 하려면 한·미·일 협력을 공고히 해야 한다.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아·태 4개국 협력 체제’도 가동할 필요가 있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와 만나 “한일 간 현안을 조속히 해결해 미래 지향적으로 나아가자”고 했다. 기시다 총리도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자”고 화답했다. 지금 정부는 징용 문제 해결을 위해 한일 기업이 참여하는 공동기금 조성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일 관계를 국내 정치에 이용하는 일은 양국 모두에서 더 이상 없어야 한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입시 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원
- “실수로 그만”...러 최대 무기고 폭발 사고로 4명 부상
- “벌금 290만원으로 부탁드린다”...출국명령 피하기 위해 형량 다투는 외국인들
- 韓대행, 한미연합사 방문… 산불 진화 도운 장병에 감사 인사
- 이정후 밀워키전 아쉬운 무안타...볼넷 출루 후 1득점
- 최여진 “예비신랑·전처가 사이비라 셋이 동거? 사실 아냐”
- Samsung to phase out DDR4 as it shifts toward premium memory amid rising Chinese competition
- 李 ‘공공병원 확충’ 공약에...성남시의사회 “市의료원부터 보라”
- 이재명 ‘대북송금’ 재판 4개월 만에 재개…“수사보고서 못 봐 의견 못 내”
- 360도 회전 중 아래로 ‘뚝’…공포의 인니 놀이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