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 9620원, 5% 인상..월 환산액 201만580원(상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 오른 시간당 9620원으로 결정됐다.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는 29일 밤 제8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9620원으로 의결했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 결정은 윤석열 정부의 첫 의결이다.
최저임금위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5%로 결정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가 회복되는 상황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을 반영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물가 상황서도 억제 기조..경기 침체 우려 반영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내년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 오른 시간당 9620원으로 결정됐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공익위원들이 제출한 안건을 표결에 부쳐 채택됐다. 민주노총 근로자위원 4명과 사용자위원 9명은 표결을 앞두고 퇴장했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 결정은 윤석열 정부의 첫 의결이다. 이전 정부까지 최저임금 인상률은 적용 연도를 기준으로 2018년 16.4%, 2019년 10.9%로 2년 연속 두 자릿수였지만, 2020년 2.9%로 꺾였고 지난해 역대 최저 수준인 1.5%로 떨어졌다. 이후 올해는 5.1%가 올랐다.
최저임금위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5%로 결정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가 회복되는 상황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을 반영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7%다. 국내 취업자 수는 지난 5월 93만 5000명으로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이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정부는 올해 물가상승률을 4.7%로 전망하는 등 고물가 상황도 심화하고 있다.
내년도 최저임금 수준에 노동계와 경영계 모두 불만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번 수준 결정은 경기 침체와 고물가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 저임금 근로자 생계 부담과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의 경영난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라는 해석이다.
최정훈 (hoonism@edaily.co.kr)
Copyright©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건희 여사, "언니들" 이어 "우리 동갑"…스페인 왕비와 만남
- '루나 검색' 조양 부모, 빚독촉 시달려…"채무 2억 이상 추정"
- 유나 가족 탄 차량, 변속기는 '주차모드'…사건 미궁 빠지나
- [현장에서]5년간 부인하더니…결국 ‘탈원전 청구서’ 시인한 산업부
- 조민아, 이혼 절차 돌입… 1년 7개월 만 파경
- 하니, 10살 연상 정신과 의사 양재웅과 열애 중 [공식]
- "김건희 여사, 영부인 역할 잘 못한다" 56.3%…'부정평가' 과반
- 강민경, 건물주 됐다…'65억' 합정동 빌딩
- '여친 폭행' 전 프로야구 선수 현행범 체포
- 삼성전자 목표가 낮춘 외국계 證…“반도체 수요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