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분기 성장률, -1.6%로 최종 집계..0.1%P 하향 조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1.6%로 최종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수치는 확정치로, 지난달 공개된 잠정치 -1.5%에서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AP 통신에 따르면 사상 최대 규모였던 1분기 미 무역 적자가 전체 GDP를 3.2%포인트 끌어내렸고, 작년 4분기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상품 재고를 과도하게 늘렸던 기업들이 이후기 재고 투자를 줄인 것이 전체 GDP를 0.4%포인트 깎아내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1.6%로 최종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수치는 확정치로, 지난달 공개된 잠정치 -1.5%에서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미 성장률은 속보치, 잠정치, 확정치로 3차례 나눠 발표된다.
미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1∼2분기 이후 처음으로, 6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에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다만 1분기 역성장은 주로 무역 적자와 기업들의 재고 투자 감소 때문으로 미 경제 자체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는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AP 통신에 따르면 사상 최대 규모였던 1분기 미 무역 적자가 전체 GDP를 3.2%포인트 끌어내렸고, 작년 4분기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상품 재고를 과도하게 늘렸던 기업들이 이후기 재고 투자를 줄인 것이 전체 GDP를 0.4%포인트 깎아내렸다.
반면 실물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개인소비지출은 1.8% 증가했고, 기업 투자도 5.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저 수요를 측정하는 지표인 국내구매자 최종판매도 3.0%(연율) 증가했다.
2분기 이후 미 경제는 활발한 소비 지출에 힘입어 플러스 성장세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인 8.6% 급등한 여파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초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등 공격적인 통화 긴축에 나서고 있어 경기침체가 초래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세계은행은 올해 미국 성장률을 종전보다 1.2%포인트 내린 2.5%로, 국제통화기금(IMF)은 종전 3.7%에서 2.9%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firstcirc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배우 이영애 "이승만기념관 건립 기부금, 화합하잔 의미" | 연합뉴스
- BTS 정국, 열애설 직접 반박…"지금 여자친구 없어" | 연합뉴스
- [아시안게임] "예쁘다"는 말에 눈물 흘린 18세 중국 역도 신예 페이신이 | 연합뉴스
- 배우 박은빈,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최초 단독 사회 | 연합뉴스
- '박카스의 아버지' 동아쏘시오그룹 강신호 명예회장 별세 | 연합뉴스
- [3보] 100경분의1초 시대 열었다…노벨 물리학상 전자역학 연구자 3인 | 연합뉴스
- [아시안게임] 북한 금메달리스트 전원 여성…강해진 '여풍' | 연합뉴스
- 아파트 10층 난간 앉아있던 90대 구조…치매 의심 증상 | 연합뉴스
- 전기톱으로 은행 털려던 60대, 얼굴 가리려 쓴 삿갓에 되레 덜미 | 연합뉴스
- 여성 목소리 몰래 듣고 성적만족…상습 주거침입 40대 실형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