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GPS '초정밀 측위' 사업 나서 기존 m 단위 오차를 cm 수준으로
KT가 기존 위치정보시스템(GPS)에서 발생하는 미터(m) 단위의 오차를 센티미터(㎝) 단위로 줄이는 ‘초정밀 측위’ 사업에 나선다.
KT는 초정밀 측위 영역의 글로벌 선두 기업인 ‘스위프트 내비게이션’과 기술 및 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스위프트 내비게이션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측위 오차를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플랫폼과 솔루션을 갖고 있다.
KT는 이번 협력으로 KT가 직접 구축한 기준국(위성 신호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기준 정보 생성 장비)과 스위프트 내비게이션의 솔루션을 연동해 다양한 모빌리티 영역에서 초정밀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위성 기반 위치정보 서비스는 신호가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굴절, 전파간섭 등을 보정할 방법이 없어 실제 위치와 m 단위 오차가 발생했다. KT 기준국은 위성 신호를 반복적으로 관측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위성궤도와 대기권(전리층, 대류권 등) 오차를 분석하고, 자체 보정 서버에서 오차 모델링 등을 적용해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정 정보에 GPS(미국), 갈릴레오(유럽), 글로나스(러시아), 베이더우(중국) 등 여러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신호와 5G 및 LTE 신호까지 조합하면 더욱더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KT는 초정밀 측위 정보를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구축을 비롯해 중장비, 무인 농기계, 도심항공교통, 드론, 스마트폰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할 계획이다. 자율 주행에 초정밀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적용하면 카메라나 라이다(LiDAR·빛으로 주변 물체와 거리를 감지하는 기술) 같은 센서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급의 정확한 위치 좌표를 도출할 수 있다.
이경로 KT AI/DX융합사업부문 AI모빌리티단 커넥티드카 사업담당은 “초정밀 측위 정보는 모바일 사용자들의 경험도 향상시킬 것”이라면서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으로) 택시를 호출했을 때 현재는 반대편 방향에서 택시가 잡히는 등 위치정보 오차로 인한 불편이 발생했지만 오차가 ㎝ 단위로 줄어들면 정확하게 내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윤정 기자 y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내란 특검 “윤석열 불출석, 서울구치소에 오후 3시30분까지 인치 공문”
- [속보]김건희 특검 “오늘 삼부토건 주가조작 핵심 피의자들 구속영장 청구”
- ‘오송참사 추모 기간’에 음주회식한 김영환 충북지사·청주시의원들
- ‘갑질 의혹’ 관련 강선우 “보좌진에 심심한 사과···법적 조치는 한 적 없다”
- ‘탄핵의 강’ 인적 쇄신 지목에···권영세 “3년 뒤 총선에 넘겨야” 반발
- 동탄신도시 아파트 주차장서 일가족 4명 숨진 채 발견
- 오늘 CGV 전국 전면 휴점···틈새 노린 메가박스 “CGV VIP면 팝콘 무료”
- “이란 대통령, 이스라엘의 암살 시도로 부상당해”···이란 고위 관리 밝혀
- 일본에서도 ‘부정선거론’ 유행···참의원 선거 앞두고 “투표지 바꿔치기” 등 주장 확산
- 한동훈 “권영세 작전 성공해 한덕수 대선 후보 만들었다면 국힘은 진짜 내란당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