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 성희롱 상담·신고센터..예방지침 무시한 포스코
성폭력 심의위도 외부위원 없이 꾸려
최근 사내 성폭력 문제가 불거진 포스코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성희롱 예방 지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29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포스코 직장 내 성희롱 예방지침을 보면, 성희롱 예방을 위한 업무 처리와 소속 직원의 성희롱 관련 고충에 대한 상담 및 처리, 성희롱 신고의 접수를 위해 정도경영실에서 고충 전담 창구인 ‘성희롱 상담 및 신고센터’를 운영한다고 돼 있다. 또 신고센터에는 전담부서 소속 직원을 성희롱 상담 요원으로 지정하도록 돼 있다.
확인 결과 포스코는 자체 감사부서인 정도경영실에서 성 윤리 신고 및 상담 업무를 맡은 직원은 1명뿐인 것으로 파악됐다. 성희롱 피해자의 고충 상담, 접수부터 사건 조사 및 처리와 부서 협조 등 방대한 업무를 모두 혼자 담당해야 한다.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 노동자 수는 1만8100여명에 달한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한 관계자는 “정도경영실 안에 여러 조직 중 담당자만 있을 뿐 별도 부서가 없다”며 “독립성과 보안 유지가 되는 상담센터를 만들어 임원 등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성 관련 문제를 조사 및 감시하는 전문위원들이 모두 조직 내부 사람들이라는 점도 문제다. 남녀고용평등법 등은 사내 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심의위에 외부 위원 참가를 규정·권고하고 있다.
실제 이번에 논란이 된 포항제철소 여성 직원 성폭력 고소 사건도 피해 여성이 지난해 12월 말 정도경영실에 성희롱을 신고했지만, 해당 직원 징계 수위를 결정한 포스코 인사위원회가 모두 임직원으로 꾸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징계는 감봉 3개월에 그쳤다.
김정희 포항여성회 회장은 “성 관련 문제는 반드시 외부 전문가를 통해 다뤄져야 한다”며 “조사가 내부 위원으로 이뤄진다면 객관·공정성을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는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신고센터를 홈페이지를 통해 운영 중이며 직장 내 괴롭힘을 전담하는 정도경영실 윤리경영사무국이 ‘성희롱 상담 및 신고센터’도 맡고 있다고 해명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정도경영실 감사 1·2그룹은 횡령 등의 문제를, 윤리경영사무국은 독립된 직장 내 괴롭힘과 성 관련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관”이라며 “조직을 외부 위원으로 구성하는 것을 이번 제도 개선에 반영할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바람난 아빠가 죽었다, 내연녀에게 줄 위자료 남기고
- “병가 한 번만 줬어도…” 20대 청년 앗아간 ‘아파도 출근’
- ‘엄현경♥’ 차서원 자필편지 “사랑하며 살아가겠다”
- ‘이동관 아들 학폭 의혹’에 장예찬 “지지자들도 걱정 많더라”
- 부모 맞아?…18개월 아들 이륜차에 태우고 ‘고의 사고’로 보험사기
- 이채익 “우크라이나 6·25 참전국인데”···김병주 “당시 소련이었다”
- ‘현충일이 고기먹는 날?’…고기팔기 혈안, 순국선열 잊은 ‘육육데이’
- 대법관도 거부 검토, 사법부 흔드는 대통령
- “옆집 이사오더니 대박났어요”…이웃 낙수효과 엄청 나네
- 발목뼈 뚫고 나왔는데 소량의 혈흔…아내를 죽인건 남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