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KTX 세종역 이슈, 되도록 조심성 있게 다루길
KTX 세종역 신설 문제를 둘러싸고 최민호 세종시장 당선인측과 김영환 충북지사 당선인측 간에 다소 미묘한 기류가 흐르는 모양새다. 지난 24일 세종시장직 인수위에서 남부권 관문이 될 KTX 세종역 신설은 충청권 4개 시도가 정부에 공동건의 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고, 그러자 김 당선인은 29일 "KTX 세종역 신설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덧붙여 "어떤 의미에서 (최 당선인이) 그런 생각을 하시는지 들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 발언을 받아 같은 날 최 당선인은 비교적 상세하게 반응했다. 먼저 "세종에는 역이 없다"며 그래서 "언젠가는 세종역이 필요하다"고 한 발언이 눈길을 끈다. 그러면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추진해야 하는 것"임을 환기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조치원역 KTX 정차와 KTX 금남역(세종역) 설치"라는 기존 투트랙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분명히 하고 나섰다. KTX 세종역 설치 문제는 '뜨거운 이슈'다. 20대 총선 공약으로 발표된 후 4년 전 지방선거, 21대 총선, 지난 6·1 지방선거에 이르기까지 단골 선거 공약으로 소비돼왔다. 그랬지만 그동안 진전된 내용은 없다. 그렇기는커녕 KTX 세종역 얘기가 나오기만 하면 오송역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한 충북도 등 인접 지자체들의 반대 목소리가 압도하기 일쑤였다. 최 당선인도 이런 저간의 경과와 사정을 모르지 않을 것이고 때문에 "언젠가는 필요"에 강조점을 찍으면서도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변함없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여지를 둔 것으로 이해된다.
KTX 세종역 설치 문제와 관련해 두 당선인이 해당 지자체 중심의 내재적 관점 또는 논리 전개 과정에서 이해관계와 판단을 달리할 수 있는 노릇이고 그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그런 만큼 어느 일방이 추동하기보다는 역지사지 자세로 조심히 다뤄야 할 사안이 맞고 그래야 공연한 갈등비용이 유발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경제성, 장재터널 사이 간이역 설치에 따른 안전성 논란, 오송·공주역 수요감소와 맞물린 지역 갈등 등을 감안하면 여간 까다로운 문제가 아니다. 이 장애물들을 무력화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하며 그런 가운데 여건과 환경이 숙성되는 때를 만나야 한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9억서 2억으로 뚝'… 반에, 반토막 나도 주인 못찾는 세종시 상가시장 - 대전일보
- 안철수 "전과 4범·12개 범죄 혐의자 이재명, 뭘 위해 대통령 되려 하나" - 대전일보
- "경쟁률 수백 대 1…의대 편입 확대시 지원 폭발할 듯" - 대전일보
- [속보] '한덕수 탄핵' 재판관들 의견 갈려…기각 5·인용 1·각하 2 - 대전일보
- 얼어붙은 충청권 부동산 시장… 지자체 세수 감소 직격탄 - 대전일보
- 한글문화도시 세종 알릴 '한글놀이터 세종관' 올 가을 문 연다 - 대전일보
- 경제자유구역 지정 속도 내는 충청권… 지정·고시 기반 마련에 행정력 집중 - 대전일보
- 억대 수강료 챙겨 잠적한 천안 필라테스 대표, 징역 1년8개월 - 대전일보
- 의대생 복귀 시한 임박…대규모 제적시 편입학 규모·경쟁률 ↑ - 대전일보
- 尹 "숨진 산불 진화대원·공무원 명복 빌어…정부·지자체 역량 총동원"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