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수저 부자가 태생적 부자보다 빈곤층 동정 못한다" 심리학 연구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2022. 6. 29. 17: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른바 '흙수저' 출신 부자들이, 태생적 부자보다 빈곤층을 덜 동정하고 부의 재분배도 덜 지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7일 사회심리학 및 성격과학(SAGE·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저널에 실린 미국 캘리포니아대(UC) 어바인 캠퍼스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대체로 가난하게 태어나 자수성가한 부자들이 빈곤층에 대해 더 동정적이고 사회복지에 공감하기를 기대하지만, 조사결과 뜻밖의 심리 현상이 나타났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해냈는데, 그들은 왜 못 해내나" 인식 생겨
이른바 ‘흙수저’ 출신 부자들이, 태생적 부자보다 빈곤층을 덜 동정하고 부의 재분배도 덜 지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7일 사회심리학 및 성격과학(SAGE·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저널에 실린 미국 캘리포니아대(UC) 어바인 캠퍼스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대체로 가난하게 태어나 자수성가한 부자들이 빈곤층에 대해 더 동정적이고 사회복지에 공감하기를 기대하지만, 조사결과 뜻밖의 심리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 연구 5건을 수행했는데, 그 가운데는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부유한 1032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도 있다. 여기에는 연소득 8만 달러(약 1억 300만 원) 이상인 사람부터 연소득 14만 2000달러(약 1억 8000만 원) 이상인 사람들도 포함됐다.
연구 결과, 가난하게 태어나 부를 쌓은 사람들은 부자로 태어난 사람들보다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을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빈곤층에 대한 동정적 태도의 감소로 이어진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 연구의 수석 저자인 UC 어바인 구현진 교수는 “자수성가한 부자는 태생적 부자보다 사회경제적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덜 어렵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즉 자수성가한 부자들은 “나는 해냈는데, 왜 그들은 할 수 없는가?”, “내가 할 수 있다면 그들도 할 수 있다!”라는 인식이 형성된다는 설명이다.
27일 사회심리학 및 성격과학(SAGE·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저널에 실린 미국 캘리포니아대(UC) 어바인 캠퍼스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대체로 가난하게 태어나 자수성가한 부자들이 빈곤층에 대해 더 동정적이고 사회복지에 공감하기를 기대하지만, 조사결과 뜻밖의 심리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 연구 5건을 수행했는데, 그 가운데는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부유한 1032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도 있다. 여기에는 연소득 8만 달러(약 1억 300만 원) 이상인 사람부터 연소득 14만 2000달러(약 1억 8000만 원) 이상인 사람들도 포함됐다.
연구 결과, 가난하게 태어나 부를 쌓은 사람들은 부자로 태어난 사람들보다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을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빈곤층에 대한 동정적 태도의 감소로 이어진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 연구의 수석 저자인 UC 어바인 구현진 교수는 “자수성가한 부자는 태생적 부자보다 사회경제적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덜 어렵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즉 자수성가한 부자들은 “나는 해냈는데, 왜 그들은 할 수 없는가?”, “내가 할 수 있다면 그들도 할 수 있다!”라는 인식이 형성된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번 조사는 최상류층 부자들을 포함하지 않아 한계를 안고 있다. 구 교수는 “부자들이 어떤 사람이고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온갖 종류의 이야기와 문화적 내러티브가 있다”며 “우리의 연구 결과는 부자들이 모두 같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될 때까지 부의 상향 이동성이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킨다고 단정 짓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될 때까지 부의 상향 이동성이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킨다고 단정 짓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내 집에서 피우는데 왜? 법대로 살자” 흡연자의 반박
- “적당히 하랬지” 걸그룹 화나게 한 ‘워터밤’ 어땠길래
- 북한 폭우로 평양 일부 잠겼다…불어난 보통강과 대동강
- 인양 승용차 탑승자 3명 확인…“조유나양 일가족 추정”
- SNS에 기자 실명·연락처 공개한 추미애, 200만원 배상 판결
- “실종 차량 탑승자 3명, 車 고의 파손·몸부림 흔적 없어”
- 군인권센터 “軍 제초작업 중 한타바이러스 감염 병사 사망, 부실대응 탓”
- 7호선 논현역 역명 ‘9억원’ 역대 최고가 낙찰…누가 샀나?
- 피살 공무원 형 “민주, 2년전 월북 인정하면 보상하겠다 회유”
- “미용실서 머리 2번 감기면 벌금 70만 원”… 伊, 최악 가뭄 시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