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금융위 부위원장, 새정부 금융정책 관련 전문가 간담회 개최 - 금융시스템 안정, 취약계층 지원, 금융규제 혁신 등 새정부 금융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전문가 의견 청취 -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김소영 부위원장은 금융시스템 안정, 취약계층 금융애로 완화를 위한 민생안정, 금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규제 혁신 등 3가지 측면의 정책방향에 대해 민간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 부위원장은 최근 엄중한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여건 속에 정부가 중점적으로 점검․대응해야 할 잠재리스크 요인 및 대응방향에 대해 민간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였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22.6.29일(수),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새 정부 금융정책에 대한 민간전문가의 제언 및 금융권의 건의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간담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새정부 금융정책 관련 전문가 간담회 개요>
· 일시·장소 : 2022.6.29.(수) 15:00~16:30 / 금융위원회 대회의실 · 참석자 :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주재), 금융연구원, 보험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
□ 김소영 부위원장은 금융시스템 안정, 취약계층 금융애로 완화를 위한 민생안정, 금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규제 혁신 등 3가지 측면의 정책방향에 대해 민간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 금융시스템 안정 >
□ 부위원장은 최근 엄중한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여건 속에 정부가 중점적으로 점검․대응해야 할 잠재리스크 요인 및 대응방향에 대해 민간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였습니다.
※ 민간전문가의 정책 제언
[ 금융회사 건전성] ㅇ 거시경제의 긴축적 운영과 유연한 환율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인 만큼, 한계기업과 자영업자의 부채 부실화에 대비하고 구조조정을 추진하기 위한 금융회사의 자본건전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
ㅇ 그간 건전성 규제는 은행 중심으로 강화되어 왔으나, 실제 위기파급 경로는 제2금융권에서 비롯될 수 있어, 비은행금융기관의 건전성규제 재정립 필요
ㅇ 성장률, 환율, 부동산 시장 침체 등 복합충격 발생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고, 美 연준과 같이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공개하여 시장심리를 안정화시키는 방안도 검토 가능
[ 부동산 관련] ㅇ 글로벌 긴축 과정에서 부동산 시장 정체 또는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PF대출 등 금융권 부동산 관련 익스포져를 세심하게 관리할 시점
ㅇ 부동산 시장불안에 대비하여 가계대출의 대손충당금·대손준비금 적립을 확대하는 등 가계부채 부실화에 대한 안전판을 강화할 필요
[ 시장위기대응 체계화] ㅇ 과거 금융위기시 시행했던 시장안정조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은행, 정책금융기관 등과 협의하여 대응계획을 선제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중요
ㅇ 자본시장을 교란하는 불공정행위에 대한 제재수단을 강화(예: 징벌적 과징금)하고, 엄정하게 처벌하는 것도 시장안정에 긍정적 |
< 취약계층 지원 >
□ 부위원장은 물가, 금리 등 가격변수가 빠르게 상승하는 상황에서 금융 애로가 커지고 있는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제언을 청취하였습니다.
※ 민간전문가의 정책 제언
[ 금리리스크 완화] ㅇ 금리상승기에 국민들이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안심전환대출 공급 등과 함께, 일반적인 정책모기지 중도상환수수료 감면, 은행 고정금리대출 선택비용(가산금리 등) 인하 등을 적극 모색
[ 서민금융 고도화] ㅇ 최저신용자 등이 연체의 굴레에 빠지지 않도록 정책서민금융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서민금융 성실 상환자에 대해 금리인하, 추가 대출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서민금융시스템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킬 필요
[ 자본시장 질서 확립] ㅇ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 등에는 과징금이 旣도입되어 있으나, 미공개정보 이용행위, 시세조정 등 엄중한 불공정거래에 대해서는 과징금이 도입되지 않아 금전적 처벌수위가 낮은 규제차익 해소
[ 국민 자산형성 지원] ㅇ 부채리스크 완화와 함께, 국민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금융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다수의 공통된 의견이 제기
* (예) [청년] 장기자산형성, 전월세보증금, 신용회복 → [근로시기] 퇴직연금, IRP, 공・사모 펀드, 연금 → [은퇴후 시기] 주택연금 등 |
< 금융규제 혁신 >
□ 김소영 부위원장은 금융산업이 근본적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혁신을 통해 高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 되도록 금융규제혁신에 적극 나설 것임을 강조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하였습니다.
※ 민간전문가의 정책 제언
[ 금융-비금융 융합] ㅇ 글로벌 금융회사들 중 플랫폼 기반으로 금융업에 진출하거나, 금융-비금융 융합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하는 금융회사들이 더 높은 가치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국내 금융회사들이 비금융업에 진출하여 금융서비스와 사업을 다각화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규제개선이 필요
< 국내외 금융회사 시장가치 > (출서 : KPMG)
[ 전업주의, 금산분리 완화] ㅇ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기적으로 ‘전업주의’ 를 완화하고, 핀테크 뿐만 아니라 부동산, 헬스, 자동차, 통신, 유통 등까지 금융회사의 겸영・부수업무 범위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필요
[ 디지털자산] ㅇ디지털자산과 같이 아직 규율체계가 미흡한 분야에 대해서는, 신규 규제의 급격한 도입으로 생기는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지털자산 중 증권형 토큰의 가이드라인 제작・배포 필요성을 피력 |
□ 한편, 이날 참석한 각 금융업권 협회들은 업권별 금융회사들이 준비 중인 구체적인 사업모델과 이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규제개선 과제 약 230여건을 1차로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였습니다.
□ 김소영 부위원장은 다양한 의견에 감사를 표하며, 조언받은 사항들을 충실히 검토하여 향후 정책과제에 반영하겠다고 하였습니다.
ㅇ 무엇보다, 복합적 충격에 대비하여 금융시스템 안정에 만전을 기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등과 현재 상황을 비교하여 적시성 있는 시장안정 조치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ㅇ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취약계층에 대해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하였습니다.
ㅇ 아울러, 금융업계에서 제시한 규제개선 건의과제는 민간전문가와 함께 TF를 구성하고, 순차적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검토하여 발표하겠다고 약속하였습니다.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