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지역 불균형 심화..지방도시 사라졌다

반기웅 기자 2022. 6. 29. 16: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년간 지자체별 도시 인구(좌) 및 면적(우) 증감률(2000~2020년). 통계청

최근 20년간 도시 간 성장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광역시 등 인구 규모가 큰 지자체일수록 도시가 커진 반면, 인구 규모가 작은 지자체는 기존 도시가 소멸됐다.

29일 통계개발원이 발간한 ‘KOSTAT 통계플러스 2022년 여름호’를 보면 디구르바(Degurba)기준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해 도시를 분류한 결과 대한민국 총 인구의 90.8%가 6.7% 면적의 도시(준도시 포함)에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디구르바(Degurba·Degree of Ubanization)는 1㎞ 간격으로 구획된 격자 단위로 인구를 집계해 인구 1500명 이상 격자 군집 5만명 이상은 ‘도시’, 인구 300명 이상 격자군집 5000명 이상은 ‘준도시’로 분류한다. 이외 지역은 ‘비도시’ 범주에 넣는다. 이렇게 하면 도시, 준도시의 영역이 격자의 군집 크기만큼 포착되기 때문에 기존 행정구역 경계와 무관하게 실체적인 도시 규모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행정 구역 상으로는 ‘군’이지만 통계적 분류상 ‘도시’로 다시 분류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농촌, 산촌, 어촌 경관을 가진 비도시는 국토 면적의 93.3%를 갖고 있지만 불과 9.2%의 인구만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구 차원으로 도시 분류 결과를 세분화해서 보면 전국 250개 시·군·구 중 강원 평창군과 고성군, 경북 영양군, 청송군 등 11개군은 도시·준도시가 전혀 없는 순수한 ‘비도시’로만 구성됐다.

대한민국 도시, 준도시, 비도시 현황(2020년). 통계청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인구 규모가 작은 지자체는 기존 도시가 사라졌다. 인구 하위 25% 시·군·구의 도시는 2000년 74개에서 2020년 62개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도시지역 인구·면적이 50% 이상 큰 폭으로 감소한 지자체는 강원 평창군, 정선군, 고성군, 경북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울릉군 등으로 주로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지난 20년간 도시 지역 인구와 면적이 50% 이상 증가한 지자체는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 8곳, 세종시 등 비수도권 6곳 등 모두 14곳이다.

서울은 2000년 이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는데, 해당 기간동안 도시 면적은 2.9%포인트 증가했고 도시 지역의 인구는 99.8%를 유지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노원구와 송파구, 강서구 등 서울 외곽 지역으로 추가적인 도시 개발이 이뤄져 도시 면적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신우람 통계청 공간정보서비스과 사무관은 “지역 내 도시 기능의 축소와 소멸은 인구 유출 요인으로 작동하게 된다”며 “지역 내 소규모 도시·준도시의 소멸과 축소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존 균형발전·지역소멸 지표와 더불어 지방도시의 현황을 측정해 균형발전 정책의 실효적 작동과 이행 정도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