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성범죄 게시물 10건 중 7건은 신고 후에도 '방치'

고현실 2022. 6. 29. 11: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온라인 플랫폼 점검 결과 34%만 삭제 등 조치
'1일 이내 처리' 20%에 그쳐..노출 사진 공유 최다, '그루밍'도 급증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포털사이트와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 온라인 플랫폼에 올라온 디지털 성범죄 게시물 10건 중 7건은 신고 후에도 삭제 등의 후속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온라인 플랫폼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점검은 이른바 'n번방 방지법'(전기통신사업법 및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2020년 12월 시행된 이후 인터넷 환경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뤄졌다.

시에 따르면 시민 801명으로 구성된 '디지털 성범죄 시민감시단'이 작년 7∼10월 4개월간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다음, 네이버, 구글 등 35개 온라인 플랫폼에서 디지털 성범죄 게시물 총 1만6천455건을 신고했으나, 33.9%(5천584건)만 삭제 등의 조치가 이뤄졌을 뿐 나머지 66.1%(1만871건)는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

서울시는 "플랫폼별로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정의가 상이하고, 신고된 게시물을 디지털 성범죄 게시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불분명해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인 조치 사항은 삭제가 3천47건(54.6%)으로 가장 많았고, 일시제한 1천419건(25.4%), 일시정지 1천118건(20.0%) 순이었다.

신고한 후 조치가 이뤄지기까지 걸린 시간은 '7일 이상'이 42.5%로 가장 많았고, 1일 이내 처리는 20.1%였다.

전체 신고 게시물 가운데 해당 플랫폼 측으로부터 '신고 처리됐다'는 안내를 받은 사례는 68.3%(1만1천238건)였다. 'n번방 사건'이 보도되기 전인 2019년 47.5%와 비교하면 'n번방 방지법' 제정 이후 온라인 플랫폼의 신고처리 안내 기능이 활성화하고, 시스템 편리성도 향상된 것으로 시는 평가했다.

처리결과 통보율은 해외 플랫폼(50.2%)이 국내 플랫폼(40.3%)보다 높았지만, 신고 게시물에 대한 조치율은 국내 플랫폼(37.0%)이 해외 플랫폼(23.1%)보다 높았다. 국내 온라인 플랫폼은 해외 플랫폼보다 신고 게시물 기준이 더 엄격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삭제 조치가 이뤄졌다고 감시단은 분석했다.

신고 게시물의 피해자 성별은 여성이 81.6%로 대다수였고, 전체 피해자의 16.4%는 아동·청소년이었다.

피해 게시물 유형(중복응답)을 보면 노출 사진 등을 유통·공유하는 경우가 70.8%(1만1천651건)로 가장 많았다. 사진합성·도용(25.0%, 4천114건), 성적괴롭힘(19.6%, 3천230건)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온라인그루밍(길들이기)의 경우 2019년에는 239건(4.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1천887건(11.5%)으로 급증했다.

기존에는 걸그룹 등 유명인을 대상으로 한 사례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여자친구, 아내 등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사진을 올리고, 이를 성적으로 희롱하는 게시물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아동·청소년의 경우 마음에 들지 않는 친구의 사진을 올려 신상정보를 유출하고, 사진을 합성·게시해 불특정 다수에게 성적인 대상으로 소비되게 하는 사례가 많았다.

서울시가 '디지털 성범죄 시민 감시단'에 참여한 221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온라인 플랫폼이 우선 취해야 할 조치로 '디지털 성범죄 게시물 계정에 대한 강력한 규제(이용중지·폐쇄)'가 가장 많이 꼽혔다.

시민감시단 활동 분석을 담당한 성균관대학교 김기범 교수는 "'n번방 사건' 후 디지털 성범죄 대응 역량이 많이 개선됐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성범죄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플랫폼의 처리 기준도 유사하게 맞춰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시민 감시단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과 함께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디지털 성범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플랫폼 기업의 적극적인 삭제 조치가 필요하다"며 "시민, 플랫폼 기업 등과 함께 예방부터 피해자 지원에 이르는 통합적인 지원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okk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