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장관, 반도체 공장 찾아 "화학물질 규제 개선 모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9일 충북 음성군 한 반도체 생산공장을 찾아 업계 의견을 듣고, 화학물질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약속했다고 환경부가 전했다.
환경부는 유독물질 유해성과 업체별 취급량 차이를 반영해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개편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환경부는 폐유독물질 등 유해화학물질이 섞인 폐기물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과 폐기물관리법(폐관법)을 '중복'해서 적용받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9일 충북 음성군 한 반도체 생산공장을 찾아 업계 의견을 듣고, 화학물질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약속했다고 환경부가 전했다.
환경부는 유독물질 유해성과 업체별 취급량 차이를 반영해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개편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환경부는 폐유독물질 등 유해화학물질이 섞인 폐기물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과 폐기물관리법(폐관법)을 '중복'해서 적용받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 중이다.
폐기물을 보관·운반 등 취급할 땐 폐관법만 적용하되 폐기물을 재활용해 유해화학물질을 제조·공급하거나 화학사고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면 기존처럼 폐관법과 화관법 모두 적용한다는 것이 환경부 방침이다.
반도체업계는 설비를 자주 교체해야 하고 외국에서 설비를 들여올 때 완제품으로 들여오는 등 '특수성'이 있다면서 '반도체업체 맞춤형 화학물질 취급설비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반도체 드라이브'를 걸자 환경부가 업계 의견만 듣고 규제 완화에 나서는 것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장관은 "윤석열 정부 환경규제 개혁은 환경정책 목표를 굳건히 지키면서도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촉진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jylee24@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조국, 실형 선고에 찡그리며 한숨…"혐의 8~9개는 무죄"
- 서울 은평구 재개발 현장서 유골 30여구 발견
- 여친 아빠 카드 비번 얘기에 귀 '쫑긋'…돈 빼낸 절도범은 남친
- 美잡지 맨스저널 '중년 근육 유지법' 쓴 기자의 정체는 AI | 연합뉴스
- "가셔도 된다" 응급실 간호사 말에 대뜸 따귀 때린 50대 철창행
- 투신 시도 여성 구조 50분 만에 재투신…경찰 대응 두고 논란
- '107일째 단식' 伊 무정부주의자 "의식 잃어도 음식 주입 말라"
- 인도 경찰, 미성년자와 결혼한 혐의로 1천800명 넘게 체포
- "바이든, 러에 '우크라 영토 20% 줄테니 종전하자' 제안"
- 석궁 들고 "영국 여왕 죽이러 왔다"…반역죄 유죄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