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청포대 갯벌 취두와 검파 공개

김종목 기자 2022. 6. 29. 09: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포대 갯벌에서 출토한 취두와 검파가 공개됐다. 취두(鷲頭, ‘독수리 머리’라는 글자이지만 실제로는 ‘용 머리’를 의미)는 ‘궁궐 등 왕실 관련 건축물 용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 검파(劍把)는 ‘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올해 5월 충남 태안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발굴한 취두 상단과 검파를 29일 공개했다. 취두 상단은 2019년 조개 캐던 주민이 발견해 신고한 하단과 결합한다. 검파는 2021년 시굴한 취두 상·하단과 쌍을 이룬다.

왼쪽 사진 취두 상단은 올해 5월 발굴됐다. 하단은 2019년 주민에게 발견됐다. 오른쪽 사진 위 칼자루 모양 장식물이 같은 달 출토된 검파다. 검파 아래 취두 한 쌍은 2021년 시굴 조사 때 나온 것이다. 문화재청 제공
출토 취두 하단 3D 스캔 사진. 문화재청 제공

연구소는 “검파 발굴로 건물 용마루에 올라가는 취두 전체가 온전한 모습 그대로 출토됐다. 조선 전기 용머리 장식기와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확인한 것”이라고 했다. 이 검파는 창덕궁 인정문 등 조선 후기 궁궐 지붕의 용머리 장식기와에 일부 남은, 문양 없는 간략한 막대(棒) 모양 검파와 형태상 차이가 있다. 취두 하단부에 부조된 용 문양의 갈퀴 표현 방식이나 구레나룻 사이의 돌기 개수 등도 조선 전기와 후기가 다르다. 연구소는 “조선 전기만 해도 규격화된 형태의 용 도상(龍 圖像)을 마련하여 이를 엄격하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지난해 6월 출토한 검파. 문화재청 제공

양기홍 연구사는 “조선 전기 취두는 숭례문 취두가 유일했다. 숭례문 취두와 이번 출토 취두 형태가 비슷하다. 조선 전기는 국가 기강을 잡으려고 형식에 관한 규정이 강했다. 후기로 갈수록 동일성이 옅어진다. 창덕궁 인정문이나 덕수궁 함녕전의 조선 후기 취두는 형태나 모양이 제각각”이라고 했다.

발굴 유물은 ‘목조건축의 지붕마루에 사용되어 건물을 수호하거나 권위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는 특수기와’인 마루장식기와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고 한다. 연구소는 “경복궁 창건기 건물과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이 가능한 유일한 고고 자료”라고도 했다.

조선 시대 궁궐 지붕의 장식기와(창경궁 명정문). 문화재청 제공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雲紋, 운문)를 새겼다.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하도록 짧은 자루도 갖췄다. 연구소는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됐다. 취두에 표현된 용이 지붕을 물고 있어 더 용마루를 갉아 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다고 전해진다”고 했다.

창덕궁 인정문 취두(왼쪽)와 덕수궁 함녕전 취두. 문화재청 제공

연구소는 8월 중순까지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한다. 인근 해역의 고선박 존재, 왕실 장식기와의 생산, 지방으로의 유통 등도 연구한다. 양 연구사는 “취두와 검파를 만든 곳은 용산 와서(瓦署) 지역이다. 충청, 전라, 경상 삼남 지역에서 소비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양반들은 이런 장식기와를 쓸 수 없었다. 왕실 관련 시설에 쓰려던 것으로 보인다. 고선박 존재와 함께 침몰 여부도 확인하려 한다”고 말했다.

태안 발굴조사 위치도. 문화재청 제공
조선 왕실 장식기와가 태안 앞바다에서 나온 이유는
조선 시대(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지붕을 장식하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취두(鷲頭)와 갑...
https://www.khan.co.kr/culture/scholarship-heritage/article/202108191124001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