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S&P500 2%↓·나스닥 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증시가 기대인플레이션 심화 소식에 다시 주저앉았다.
28일(현지시각)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1.27포인트(1.56%) 내린 3만946.99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지난주 5.4∼7.5% 올라 6월 들어 첫 주간 상승을 기록했으나, 월요일인 전날 나란히 소폭 떨어진 데 이어 하락폭을 더욱 늘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뉴욕증시가 기대인플레이션 심화 소식에 다시 주저앉았다.
28일(현지시각)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1.27포인트(1.56%) 내린 3만946.9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8.56포인트(2.01%) 떨어진 3821.5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43.01포인트(2.98%) 급락한 1만1181.54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지난주 5.4∼7.5% 올라 6월 들어 첫 주간 상승을 기록했으나, 월요일인 전날 나란히 소폭 떨어진 데 이어 하락폭을 더욱 늘렸다.
일각에서는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에서 주가가 일시적으로 오르는 반등 장세)가 벌써 힘을 잃은 게 아니냐는 시선도 보낸다.
미국 소비자들의 비관적인 경기 전망이 수치로 확인되면서 뉴욕증시의 반등세에 김이 빠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영리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가 이날 발표한 6월 미 소비자신뢰지수는 98.7로 전월(103.2)보다 크게 하락,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소비자들이 예상한 향후 12개월 기대인플레이션은 8.0%로 전월(7.5%)보다 높아진 것은 물론 1987년 8월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마이크 멀레이니 보스턴파트너스 글로벌시장리서치 국장은 “지난주 부진한 경제 지표들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을 늦출 수 있을 것이라는 역설적 전망을 불러일으켰다”며 “이날 발표된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이 나쁜 뉴스는 그냥 나쁜 뉴스라는 현실을 일깨웠다”고 지적했다.
인디펜던트 어드바이저 얼라이언스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방송에 “지금 우리는 경제 변곡점에 와 있다”면서 “우리가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다면 지금 주식시장의 가치는 적정하겠지만, 경기침체에 진입한다면 아직 바닥을 치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소비심리 약화 속에 이날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매출 전망치를 내놓은 나이키는 7.0% 급락했고, AMD(6.2%)와 엔비디아(4.9%) 등 반도체주들도 부진했다. 다만 내년 하반기 신형 아이폰에도 5G칩을 독점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온 퀄컴만 4.7% 급등했다.
또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입국 규제 완화에 힘입어 윈리조트(3.2%)와 라스베이거스샌즈(4.0%) 등 호텔·카지노 업체들의 주가도 올랐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삼성전자, 보릿고개에 올해 반도체 투자 19% 줄인다
- ‘출혈 수주’ 피하는 분위기에… 경쟁 사라진 재건축·재개발
- [단독] 공정위, ‘20배 빠른 5G’ 과대광고 통신 3사 제재 착수
- [차이나 비즈] 일본 무인양품도 백전백패…상표권 뺏은 中 짝퉁 ‘적반하장’ 주인 행세
- [경찰, 과학과 만나다]⑯ ‘청담동 주식부자’ 부모 살해범 찾아낸 운동화 자국… AI가 찾는 시대
- 'TSMC 따라잡다 가랑이 찢어질 판'… 한계 임박한 삼성
- 한 달 만에 3300억 벌었다…카뱅 주가 급등에 ‘대박’ 한투증권
- [K의료기기 프론티어] ②“시간과 정확성 두 마리 토끼 잡는 초소형현미경, 암 수술 패러다임 바꿔요”
- [단독] 강남권 새벽배송 핵심 거점...컬리, 송파 물류센터 이전
- [인터뷰] “세계 유일의 국립 암 전문기관, 이대로면 5년 안에 ‘이류’로 전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