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쿠르 8번 우승 비결요? 음악에 대한 간절함이죠"

하종훈 2022. 6. 29.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콩쿠르 우승 비결이라는 건 없어요. 음악에 대한 열정과 더 좋은 연주를 하기 위한 간절함이 가장 중요하죠. 작곡가를 존경하고 그 작품에 내재된 감정을 소중히 여기고 음악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우선순위가 돼야 할 것 같습니다."

피아니스트 임윤찬(18), 첼리스트 최하영(24) 등 젊은 한국 음악가들의 잇단 국제 콩쿠르 우승으로 한층 높아진 K클래식의 위상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아니스트 선우예권 서면 인터뷰
수상 아닌 연주 기회 얻는 게 목적
상 받은 만큼 서류 탈락도 많았다
새달 서울 피아노 협주·리사이틀
"음악에 대한 열정 잃고 싶지 않아"
선우예권 피아니스트

“콩쿠르 우승 비결이라는 건 없어요. 음악에 대한 열정과 더 좋은 연주를 하기 위한 간절함이 가장 중요하죠. 작곡가를 존경하고 그 작품에 내재된 감정을 소중히 여기고 음악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우선순위가 돼야 할 것 같습니다.”

피아니스트 임윤찬(18), 첼리스트 최하영(24) 등 젊은 한국 음악가들의 잇단 국제 콩쿠르 우승으로 한층 높아진 K클래식의 위상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올 상반기에만 25개 대회에서 무려 37명이 입상했다. 최근 서면으로 만난 피아니스트 선우예권(33)은 이와 관련해 “공연을 찾는 모든 관객을 만족시킬 수 없듯이 음악에 옳고 그름은 없다”며 “힘들고 어려운 시기에도 입지를 다지고 후배 연주자들을 위해 헌신한 선배들이 있었기에 오늘날 한국 연주자들의 위상이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2017년 북미 최고 권위의 밴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한 것을 비롯해 모두 여덟 번 국제 무대 정상에 오르며 ‘콩쿠르 왕’으로 통했던 선우예권이지만 사실 콩쿠르 이야기를 꺼내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는다. 어린 후배들에게 콩쿠르 수상이 궁극적 목표가 되는 것을 경계해서다. 그는 “상을 받은 것만큼이나 서류 심사에서 떨어진 경험도 많다”며 “단순히 수상이 목표가 아니라 입상을 통한 연주 기회를 얻으려는 간절함이 컸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밴 클라이번 우승 당시 그 간절함이 가장 강렬했고, 그만큼 더 음악에 헌신적으로 임하고 준비했다”고 덧붙였다. 자신의 뒤를 이어 밴 클라이번에서 우승하며 최연소 기록까지 쓴 임윤찬에 대해 그는 “2019년 명동성당에서 함께 한 ‘코리아 영 아티스트 시리즈’를 통해 처음 알게 됐다”며 “그때도 이미 가진 재능이 많은 피아니스트였고, 하루가 다르게 큼직한 발걸음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봤다”고 축하 인사를 전했다.

선우예권은 다음달 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한다. 같은 달 23일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에서 열리는 ‘M소나타 시리즈’ 리사이틀에서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오페라 ‘장미의 기사’ 중 ‘사랑을 말하다’와 피아노 소나타, 오토리노 레스피기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 클로드 드뷔시 ‘판화’ 등을 선보인다. 그는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은 특유의 빈정대는 면모는 물론 역동적 에너지를 가득 품은 곡”이라며 “몬트리올 심포니도 그런 요소를 세심하게 표현하는 것 같아 관객 모두 좋은 에너지를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슈트라우스는 제가 슈베르트만큼 좋아하는 작곡가로 특유의 화성이 머릿속에서 여러 가지 색감으로 펼쳐지는 느낌이 있다”며 “특히 소나타 2악장에서는 그리움, 갈망 등의 감정이 가슴에 잔잔한 여운을 남긴다”고 강조했다. 선우예권은 새롭게 재개관한 마포아트센터가 어떤 울림을 갖고 있을지, 피아노는 어떨지 기대된다며 설렘을 드러내기도 했다.

초등학교 2학년 때 피아노를 시작한 선우예권은 “4학년 때 막연하게 평생 연주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며 “방과 후 학원에서 연습하고 친구들이 치는 곡들을 듣는 재미에 푹 빠졌던 기억이 있다”고 회상했다. 그는 “피아노는 독주 악기라 다양한 레퍼토리와 상상력으로 펼쳐 내는 색채가 매력적”이라며 “음악에 대한 헌신적인 삶, 애정, 열정을 잃지 않는 것이 음악가로서의 목표”라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