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새 주인에 KG그룹 낙점
2년 만에 회생..내달 초 본계약
KG그룹이 쌍용차의 새 주인으로 사실상 확정됐다. 쌍용차는 2020년 인도 마힌드라그룹의 경영 포기 선언 이후 2년 만에 기사회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쌍용차를 품는 KG그룹은 노조와 채권단의 협조, 나아가 전기차 등 신차 개발을 위한 추가 자금 확보 등의 과제를 안았다.
서울회생법원은 28일 쌍용차의 매각 전 인수예정자였던 KG컨소시엄을 최종 인수예정자로 선정했다. 쌍방울그룹 계열사로 구성된 광림컨소시엄이 공개입찰에 참여했으나 법원은 인수 대금의 규모와 인수 대금 조달의 확실성, 운영 자금 확보 계획, 인수자의 재무 건전성 등을 종합 평가한 결과 KG컨소시엄의 인수 조건이 더 나은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에디슨모터스와의 최종 계약 체결에 실패했던 쌍용차는 조건부 투자 계약으로 인수 예정자를 먼저 정해놓고 공개입찰을 부치는 방식(스토킹 호스)을 택하면서 안정적으로 매각 절차를 밟을 수 있었다.
쌍방울그룹이 유일하게 공개입찰에 나서면서 ‘막판 뒤집기’를 노렸지만, KG그룹은 쌍용차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토레스 광고를 사옥 전광판에 띄우는 등 인수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쌍용차는 다음달 초 KG컨소시엄과 본계약을 체결한다. 이후 관계인 집회를 열어 회생계획안에 대한 채권단 동의를 받을 예정이다. KG컨소시엄은 인수대금 3500억원과 운영자금 6000억원을 포함해 9500억원가량을 내고 쌍용차를 인수한다는 계획이다. KG컨소시엄은 채권단의 반대로 발목이 잡힌 에디슨모터스보다 1000억원가량 인수 금액을 키운 터라 협상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KG그룹은 공격적 인수·합병(M&A)을 통해 화학과 제철, 정보기술(IT), 미디어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왔다. 자동차 사업 경험이 없다는 점은 KG그룹의 약점으로 꼽힌다. 쌍용차는 토레스가 사전계약 첫날에만 1만2000대를 돌파하는 등 흥행을 예고한 데다 토레스 전기차 모델까지 가세하면 빠른 시일 안에 경영 정상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영득 기자 godo@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방부 전 대변인 “천공, 지난해 한남동 공관 방문…전 육참총장에 들었다”
- 송중기, 아빠 된다…“혼인신고 하고 오는 길”
- [단독]“최정원 때문에 가정·아들도 잃었다…아내가 아동학대”
- ‘목욕탕이냐’ 한달 수도요금 650만원 왜?
- 4인 가구 전기요금, 지난해보다 1만1000원 오른다
- ‘국민의힘 대표 출마’ 30대 천하람 “이준석 넘어설 것”
- 박정희 기념에 1200억 쓰고도…“1000억 더”
- ‘박은정 검사 남편’ 이종근 검사장 사의
- “건초더미서···” 호주, 1400㎞ 고속도로 수색 끝 손톱 크기 방사성 캡슐 찾았다
- ‘썩은 배추’로 김치 만들어 판 ‘김치명장 1호’ 재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