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단비대증, 부정맥·심부전 발병 위험 높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말단비대증을 앓으면 부정맥ㆍ심부전 등 심혈관 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철영 교수는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심장 질환 발병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로 추정됐지만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말단비대증 환자는 치료 후에도 심부전에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진단할 때부터 적극적인 심전도 검사와 위험 요소 조절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단비대증을 앓으면 부정맥ㆍ심부전 등 심혈관 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말단비대증은 성장이 끝난 뒤에도 뇌하수체종양에서 성장호르몬이 계속 분비돼 손·발·턱·코·귀 등 말단이 커지는 희소 질환이다. 말단비대증은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질환 빈도가 낮아 정확한 내용을 알기가 어려웠다.
박철영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2006~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2,259명의 말단비대증 환자 중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 이력이 없는 1,874명의 데이터를 평균 7.5년 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말단비대증 환자의 부정맥 발병률은 1년에 1,000명당 3.06명으로 1.07명인 대조군보다 확연히 높았다.
심부전 발병률도 말단비대증 환자는 3.11명으로, 대조군(1.63명)보다 높았다. 연령, 성별, 2형 당뇨병 여부를 보정해도 대조군 대비 각각 59%, 54%의 발병 위험도가 증가했다.
반면,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박철영 교수는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심장 질환 발병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로 추정됐지만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말단비대증 환자는 치료 후에도 심부전에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진단할 때부터 적극적인 심전도 검사와 위험 요소 조절이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유럽 심장 분야 국제 학술지인 ‘European Heart Journal’에 최근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속보] '제주 한 달 살기' 조유나 실종 가족 아우디 차량 발견
- 제주 어학원장 '그루밍 성범죄' 전말…우등생 학습성취욕 이용해 지배
- '23세 연하와 결혼' 박수홍 "루머에 큰 상처... 지옥 같았다" ('실화탐사대')
- 거침없던 이준석, 돌연 일정 비공개하고 말문 닫은 이유는?
- 조수미 "어머니가 결혼하면 안 된다고 했다... 유학 시절 이해하게 돼"
- 윤 대통령, 김건희 여사와 기내 깜짝인사... 스페인 도착 후 다자외교 시동
- 불법 투자 의혹에 '동학개미 선봉장' 존리 대표 전격 사의
- "장제원 무서워 방송 못하겠다" 보수논객에... 이준석 "편하게 비판하라"
- 이준석 "내가 배현진 악수 손 뿌리친 이유는..."
- "부모 원망해야 하나" 한동훈 처조카 논란에... 흙수저 유학생들의 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