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기부양 위해 '사상최대' 지방채 발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지방정부의 6월 채권 발행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경제 수도' 상하이가 봉쇄되는 등 중국 전역이 고강도 방역대책 '제로 코로나' 후폭풍으로 타격을 입자 지방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정책을 총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인프라 투자자금 등을 조달하기 위해 매년 '특별채권'을 발행한 중국 지방정부는 올해는 최대 3조6500억위안의 인프라 채권을 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지방정부의 6월 채권 발행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경제 수도’ 상하이가 봉쇄되는 등 중국 전역이 고강도 방역대책 ‘제로 코로나’ 후폭풍으로 타격을 입자 지방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정책을 총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8일 닛케이아시아는 이달 들어 중국 지방정부들이 발행한 채권이 1조4100억위안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번주에 발행될 예정인 채권을 포함할 경우 이번달 지방정부 채권 발행 총액은 1조5000억위안(약 288조원)을 넘어선다.
인프라 투자자금 등을 조달하기 위해 매년 ‘특별채권’을 발행한 중국 지방정부는 올해는 최대 3조6500억위안의 인프라 채권을 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앙 당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지방정부에게 6월 말까지 채권 발행 할당량을 모두 소진하라고 지시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상반기 내에 지방정부의 채권 발행 한도를 소진했다.
당초 올해 5.5%의 경제성장률을 목표치로 잡았던 중국은 그러나 제로 코로나로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 대도시들이 봉쇄되면서 심대한 타격을 입었다. 이에 중국 안팎에서 목표치를 달성하기 힘들 것 같다는 회의론이 확산했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은 최근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이 경제에 대해 ‘응급 처방’을 하기 위해 조만간 특별국채를 발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자, AMD에 HBM3E 12단 공급 확정… “HBM 결함 우려 씻어냈다”
- 美 투자 늘리는 GM… 인당 6300만원 더 달라는 한국 노조
- [단독] 한국 시장 철수 시그널?… ‘일본판 이케아’ 니토리, 韓 1호점에 이어 3호점·6호점도 폐
- [메드테크, 우리가 국대다]⑩ 콘택트렌즈로 녹내장 진단·치료까지…세계 최초 상용화 눈앞
- 실리콘투, 폴란드 수출 데이터에 주가 롤러코스터
- [위성으로 본 세상] 중국 다롄항에 정박한 수상한 구조물들
- “7·8월에는 타지 마세요”… 기장이 올린 글에 진에어 ‘발칵’
- 내년 최저임금 1만1500원?....“직원 대신 내가 일해야” 자영업자 절규
- [줌인] 트럼프 ‘이민자 추방’ 정책의 중심지가 된 홈디포
- “맥도날드보다 잘 나간다” 日 시장 확장 나선 맘스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