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임금 인상이 물가 자극"..노동계·野 '반발'

서주연 기자 2022. 6. 28. 18:1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추경호 경제 부총리가 대기업의 과도한 임금인상이 물가 인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발언했는데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동계는 즉각 반발했고, 야당도 물가상승 원인을 근로자 임금에 전가한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서주연 기자, 추 부총리의 발언이 한국경영자총연합회와 만난 자리에서 나왔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었나요? 

[기자] 

먼저 함께 들어보시죠. 

[추경호 / 경제부총리 : 과도한 임금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더욱 확대시키고…. 과도한 임금인상을 자제해 주시고 생산성 향상 범위 내에서 적정수준으로 임금인상이 됐으면….] 

[앵커] 

노동계는 즉각 반발했죠? 

[기자] 

물가가 오르면 실질임금이 줄기 때문에 명목임금을 그만큼 올리는 것은 당연하다는 게 그간 노동계에서 주장해오던 논리인데요.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자유주의와 시장경제가 중요하다고 하면서 민간 자율을 강조하는 정부가 왜 대기업 노사문제에 개입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는데요. 

윤 대통령이 지난 화물연대 파업 때 노사 관계에 있어 정부개입에 선을 그은 바 있는데 엇박자라는 얘기도 나옵니다. 

[윤석열 / 대통령(6월 10일) : 정부가 늘 개입해서, 여론을 따라가서 너무 노사 문제에 깊이 개입하게 되면 노사 간 원만하게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역량과 환경이 전혀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앵커] 

논란이 정치권으로도 옮겨 붙는 분위기죠? 

[기자] 

김태년 민주당 경제위기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은 "물가가 오르는데 임금 인상을 안 하면 그 고통은 임금 노동자인 국민들이 고통을 홀로 감수하란 얘기"라며 "마치 물가 상승의 원인을 고임금에 전가하려는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다"고 비판했는데요. 

화물연대 파업과 주52시간제 엇박자 등 새 정부의 노동 현안 대응이 매끄럽지 않은 가운데 이번 추 부총리의 발언이 하투를 앞둔 노동계를 다시 한번 자극하고 있습니다. 

SBS Biz 서주연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