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횡재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횡재는 뜻밖에 굴러온 재물을 가리킨다.
요즘 이들 기업의 초과이윤에 횡재세를 매기려는 기류가 흐르는 배경이다.
글로벌 에너지 대란 속에 '횡재'한 만큼 물가안정과 소비자 부담 경감을 위해 초과이익의 일부를 환원하란 논리다.
횡재세가 경제적 약자를 배려하는 명분은 있지만, 미·영과 달리 산유국이 아닌 우리로선 큰 폭의 초과이윤세 도입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유가상승 랠리에 국내외 정유사들만 초호황이다. 요즘 이들 기업의 초과이윤에 횡재세를 매기려는 기류가 흐르는 배경이다. 영국은 정유사 대상 초과이윤세를 한시적으로 시행 중이고, 미국도 도입을 추진 중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최근 "(미국 정유사) 엑손이 지난해 하느님보다 돈을 더 벌어들였다"며 분위기를 띄웠다.
국내 정치권에서도 정유사들의 초과이익 환수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최근 앞서거니 뒤서거니 이를 제기했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조치에도 국내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면서다. 글로벌 에너지 대란 속에 '횡재'한 만큼 물가안정과 소비자 부담 경감을 위해 초과이익의 일부를 환원하란 논리다. 실제로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4사는 올해 1·4분기 역대 최대 규모의 영업이익(4조7668억원)을 냈다.
그러나 부정적 시각도 만만찮다. 정유사들은 조세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볼멘 표정이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석유 수요가 급감해 연간 5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했을 때는 조세지원이 없었다면서다. 특히 1·4분기 영업이익 중 약 40%가 원유 값이 쌀 때 구입한 데 따른 '재고이익'으로, 앞으로 유가가 하락하면 '재고손실'이 되므로 '장부상의 이익'일 뿐이란 주장도 폈다.
학계 일각에서도 시장경제 원리에 반한다고 본다. 초과이윤세로 정유사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면 석유제품 공급을 줄여 기름값이 오르는 악순환을 부른다면서다. 횡재세가 경제적 약자를 배려하는 명분은 있지만, 미·영과 달리 산유국이 아닌 우리로선 큰 폭의 초과이윤세 도입엔 한계가 있어 보인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 "남편에 죄송" 사과후 비난 쏟아져…왜?
- "아버지가 범인"…양평 주택화재 40대 부부 사망사건 '공소권없음'
- 김새론 편지 "김수현, 첫사랑이자 마지막 사랑"
- '아들만 다섯' 정주리 "여섯째 NO…남편 정관수술"
- 남편 전처랑 술친구…"집에서 자고 가기도"
- 강리나 "에로영화 많이 찍은 이유? 다른 사람과 생각 달랐다"
- "30대女, 번개 맞고 초록색 눈이 갈색으로 변했다"..믿기 어렵겠지만 흔한 일? [헬스톡]
- 조부모 집에서 실종된 손자, 9개월 만에 시신으로
- '에일리 남편' 최시훈 "호스트바 출신 루머에 다 무너져…억울"
- 아들 사망후 며느리 재혼…"남겨진 손자, 아들로 입양될까요?" 할머니의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