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카' 쌤에게 배워봤다..춤으로 분노 표현하는 법
"개인 레슨 오신 분들에게 물어봐요. 즐거운 마음으로 추고 싶은 건지, 표현하고 싶어 추는 건지요."(모니카쌤)
"제가 기사를 써도 무관심한 주제가 많거든요. 그래서 춤으로 전해서 관심을 이끌고 싶은데…표현하고 싶은 게 잘 안 돼요."(기자)
"진짜 어려운 걸로 해볼까요?(움찔)"(모니카쌤)
마흔살에 춤을 처음 배우는데, 선생님이 무려 스트릿우먼파이터(이하 스우파)에 나온 <프라우드먼> 리더 모니카님이라니. 걱정과 두려움이 교차했으나 댄스 스튜디오엔 이미 영화 <조커> 음악인 콜미 조커(Call me Joker)가 흐르기 시작했다. 맞다, 조커가 첫 살인을 한 뒤 화장실에서 춤췄을 때 나오던 그 음악.
엄두도 못 냈었다. 춤을 배우고 싶은 마음만 품고 살았다. 가끔 술 기운에 아내가 웃으라고 보여주는 '몸짓' 정도만 했었다.
문득 용기를 낸 건, 나 같은 댄스 '뚝딱이(뚝딱거려서)'들이 무려 방송 출연까지 한다고 해서였다. 엠넷(Mnet) '뚝딱이의 역습' 프로그램 말이다. "누구나 춤을 출 수 있다"는 말에 내 안에 눌러뒀던 무언가가 끓어올랐다. <남기자의 체헐리즘>과 콜라보를 하고 싶단, 박지연 엠넷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님의 말에 마음이 넘어갔다. 안 선생님 앞의 정대만처럼 전화기에 대고 소리쳤다.
"춤을 춰보고 싶어요!"
춤에 무언가 '메시지'를 담고 싶다고 모니카쌤에게 말했다. 스우파에서 <프라우드먼>이 했던 <데스페라도> 공연처럼(진짜 멋짐). 모니카쌤은 영화 <조커> OST인 <콜미 조커>에 맞춰서 해보자고 했다. 방관이 만들어낸 조커의 분노, 어두운 마음을 표현해보자는 거였다. 영화 배경음악이라 박자가 없어서, 좀 더 편하게 표현할 수 있을 거라고 했다.
그 감정을 '브레인스토밍' 하는 게 시작이었다. 그걸 나열해서 춤으로 표현하는 거다.
"쉽게 말해 분노가 있어요. 그 다음에 느끼는 건 뭘까, 복수, 좌절, 무력감…순서를 나열하는 거죠. 끝엔 어떤 마음이 들까요?"(모니카쌤)
"해방감 같은 걸까요?"(기자)
"분노에서 용서나 자비로 가도 되고, 분노에서만 머물러도 돼요. 저는 걱정하는 것부터 시작할 것 같아요. 내가 왜 기분이 나쁘지, 이 XX 죽여버리고 싶잖아(움찔), 이런 느낌을 왜 내가 갖고 있는 거지, 이런 걸 고민하잖아요. 그걸 정리하는 무빙을 넣는 거죠."(모니카쌤)
원투쓰리포, 파이브 식스, 세븐. 그의 박자에 맞춰 나도 함께 움직였다. 아주 단순해 보이는데, 표현되는 건 아예 달랐다.
분노의 감정 표현이 이어졌다. 모니카쌤이 말했다. "노려본 다음에 쟤를 불러 말어, 가서 말해 말어, 머뭇거린다는 느낌이 들죠." 그리고 화를 내는 순간이 됐다. 네가 나한테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 억울하다고, 말이 되느냐고. 그게 다 동작으로 표현이 됐다. 가슴을 치듯 왼손을 뻗었다가, 오른손을 뻗어 자제하고, 그러다 결국 멱살을 잡아 끌고 왔다.
손이 춤에서 중요한 표현 동작이었다. 모니카쌤은 "저는 손을 쓰는 걸 되게 좋아한다. 손이 댄서한테 입이라고 생각할 때가 있다"고 했다. 어떻게 이런 표현들이 다 자연스레 나오냐 묻자, 그는 "살아가면 다 이런 일이 있잖아요. 그럴 때 기억하려고 한다"고 했다. 화날 때 몸에서 어디에 힘을 주는지, 밥을 먹을 때 앞니로 힘을 주는지까지.
마지막으로 <콜미 조커>에 맞춰 모니카쌤과 나란히 춤을 췄다. '나도 할 수 있구나'란 생각이 들어 묵혀뒀던 해방감이 밀려왔다. 순식간에 완전히 몰입하는 그를 보며 박수를 쳤다. 모니카쌤은 "감정을 자기식대로 해석해 모양을 만드는 것도 기본기"라며 "오늘은 주제가 분노였지만, 어느 날은 새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지금처럼 쭉쭉 연습해도 춤을 충분히 잘 출 수 있다고 용기를 주었다.
같은 스튜디오에서 <뚝딱이의 역습> 촬영이 이어졌다. 나처럼 춤을 배우고 싶지만, 잘 못 추는 뚝딱이 5명이 들어왔다. 여기선 아무래도 괜찮았다. 춤을 못 춰도, 아무렇게나 춰도. 쪼그리고 앉아 연습하는 장면을 바라봤다. 모니카쌤의 가르침에 따라, 이들은 열심히 연습하고 또 연습했다. 안 되던 동작들이 나아지기 시작했다. 땀방울이 송골송골 맺히고, 연습실이 뜨거워졌다. 쉬라는 데도 춤을 계속 추었다.
무엇이 평범한 일상을 보내던 이들을, 이토록 춤추고 싶게 만든 걸까.
뷰티디렉터인 이권호씨(32)는 홀로 일을 시작했다. 그러니 모든 이들에 대한 긴장감 속에서 일했다. 이씨는 "그런데 춤출 땐 그 긴장감이 사라진다. 그러니 그 순간 너무 즐길 수 있게 된다. 너무 재미 있고, 심장을 뛰게 해준다"고 했다. 직장인 신유리씨(31)는 "내 움직임에만 몰두하고, 그것만 생각할 수 있어서 좋다. 모든 걸 까먹을 수 있어서"라고 했다. 어떤 마음인지 알듯 했다.
"한 발은 어려울 수 있는데, 두 발은 쉬운 것 같아요. 딱 한 발만 내딛으면."(신유리씨)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동성애 숨기려 '위장 결혼·임신' 선택한 부부…남편이 돌변한 이유 - 머니투데이
- 이진호 "옥주현, 본인 확인 안 받고 캐스팅했다고 연습 불참" 주장 - 머니투데이
- "사실이 아닌 얘기들, 화나"…이경진, '파혼' 루머에 입 열었다 - 머니투데이
- 신민아♥김우빈 투샷 포착…8년차 커플임에도 여전히 '달달' - 머니투데이
- "차에서 나온 '독사', 놀라 자빠졌다…에어컨 구린내 의심하라" - 머니투데이
- '마약 혐의' 이철규 의원 아들 영장심사 시작…구속 여부 오늘 중 나올 듯 - 머니투데이
- [영상] "하반신 마비" 10억 달라는 직원…휠체어에서 '벌떡' - 머니투데이
- "깡패 같아 멋있어요" 두 아들의 말…송백경, 문신 지웠다 - 머니투데이
- [단독]지적장애 가족 챙긴 이웃의 배신…1억 빼돌리고 보험 사기까지 - 머니투데이
- 마이크론·중국기업, HBM 추격에 속도…'슈퍼을' 한미반도체의 여유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