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실트론, 협력사 SiC 전략반도체 시장 진출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실리콘이 기존 협력사의 비즈니스 확장 지원 프로그램인 'SiChallenge'의 시작으로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기술 포럼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시장의 국내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SK실트론의 기존 실리콘(Si) 웨이퍼 제조 협력사를 대상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재인 SiC 웨이퍼 제조와 관련한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협력사에게 유망 신규 시장으로의 진출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실리콘이 기존 협력사의 비즈니스 확장 지원 프로그램인 'SiChallenge'의 시작으로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기술 포럼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시장의 국내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SK실트론의 기존 실리콘(Si) 웨이퍼 제조 협력사를 대상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재인 SiC 웨이퍼 제조와 관련한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협력사에게 유망 신규 시장으로의 진출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날 포럼에는 10개 협력사의 기술·영업 분야 임직원 26명이 참석해 SiC 전력반도체의 주요 특징과 글로벌 시장 동향, SiC 웨이퍼 제조 공정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받았다. 아울러 각 사가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토대로 SiC 웨이퍼 제조기술 개발 관련 상담도 진행됐다.
SK실트론은 지난 2020년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신재생 에너지의 필요성 등 시장과 사회의 변화를 예상하고 미국 듀폰사로부터 SiC 웨이퍼 사업을 인수해 SK실트론CSS를 설립했다. 또 지난해 하반기에는 지속 급증하는 수요 대응과 신속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미국과 한국에 생산 거점을 동시에 증설하고 있다. 미국 미시간주 베이시티에 신규 공장을 지어 그로잉 생산라인을, 국내 구미2공장에 웨이퍼링·에피 생산라인을 증설을 진행 중이다. 미국 신공장에서 만들어진 잉곳(Ingot)은 국내 제조공정을 거쳐 SiC 웨이퍼로 완성된다.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국내 생산기반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SK실트론은 이번 SiChallenge 프로그램을 통해 SiC 전력반도체의 국내 생태계 구축 및 협력사와의 상생 협력 강화를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SK실트론의 협력사는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신규 사업영역인 SiC 웨이퍼로의 비즈니스 확대 및 다변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SK실트론은 SiC 웨이퍼 기술 포럼을 연 2회 시행할 계획으로 대상 협력사를 지속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은 "회사와 협력사가 함께 전도유망한 SiC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어 기쁘다"며 "국내에 차세대 전력반도체 생태계의 본격적인 성장 토대를 다져 공급망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전혜인기자 hy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옛 동료 생후 4개월 딸 눈에 순간접착제 뿌린 30대 여성…법원 "엄벌 불가피"
- `주점업주 사망 전 성폭행` 30대 중국인 1심 징역 3년에…"부당하다" 항소
- "쇠사슬·목줄 채우고 배설물 먹여"…성매매 업소 공포의 자매
- "웃통 벗고 사진 찍을까요"…`푸틴 조롱` 폭소터진 G7 회의
- 이근 "나 같은 사람이 우크라 안 돕는다? 그게 오히려 범죄"
- 윤석열·한덕수에 치이는 국힘 경선, 국민 관심 밖으로
- `저가` 치부하던 中 배터리, LFP에 이어 소듐이온도 선점
- [단독]암반등급 오류?…신안산선 붕괴사고, 설계 의혹
- 교황 안식처는 애정 깊었던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 美관세 불안에 수출기업 `비상벨`… 관세대응 119 상담 두 달만에 3000건 넘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