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 혁신기술에 1조 원 투자..내년 연구개발 예산 24조 6천억 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연 1조 원 규모의 디지털 혁신기술 투자를 하는 등 '디지털 R&D (연구개발) 대전환'을 추진합니다.
정부는 연 1조 원 규모의 디지털 기술개발 투자를 인공지능(AI), AI반도체, 5G·6G, 양자기술,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등 6개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연 1조 원 규모의 디지털 혁신기술 투자를 하는 등 '디지털 R&D (연구개발) 대전환'을 추진합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오늘 제21회 심의회의'를 열고 '디지털 패권국가 도약을 위한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안'과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연 1조 원 규모의 디지털 기술개발 투자를 인공지능(AI), AI반도체, 5G·6G, 양자기술,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등 6개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6개 분야는 디지털 분야 전반의 후보 기술(18개)을 대상으로 경제·사회적 영향력, 정부투자의 시급성 등 평가를 해 선정했습니다.
정부는 확보된 기술의 신속한 시장 확산을 지원해 2027년까지 5년간 디지털 혁신기술 기반 기술이전·기술창업 성과를 3천 건 이상 창출할 계획입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의 최고 수준 기술인력을 3만 명 양성하기 위해 대학ICT(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사업(ITRC)과 특성화대학원을 6대 분야에 집중·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심의회의에서는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규모가 올해 대비 1.7% 증가한 총 24조 6천601억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사진 출처 : 과기정통부 제공]
정영훈 기자 (jyh215@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완도 송곡항 앞바다서 실종자 탑승 추정 차량 부품 발견
- ‘출근길 브리핑’ 부활…‘잊히지 않길’ 바라는 공수처?
- 중부 장맛비…야간 집중호우 주의!
- [테라·루나, 암호를 풀다]⑪ “권도형 대표, 법 심판대 세울 것”…어나니머스의 경고
- 제주에 온 몽골인 관광객들 집단 잠적…행방 묘연
- “자꾸 울어서 이불로 덮었다”는 아버지…생후 6개월 아기 사망
- [현장영상] 트레일러서 시신 46구 발견…미국 ‘최악의 이민자 참사’
- [8분MZ] 신축 아파트 단지 조경석 ‘와르르’…“큰일날 뻔”
- [통계의 경고, 어촌 소멸]① 뜨거운 바다 ‘텅 빈 물속’…어촌 소멸 위기
- 시각장애인, 경찰에 ‘점자 통지’ 요청했지만…못 받은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