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첫 R&D 예산 24.7조.. 차세대 원전 R&D 50% 이상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내년에 차세대 원전 R&D(연구개발) 예산을 50% 이상 확대한다.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했던 탈원전 정책을 뒤집으면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제4세대 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에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내년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와 제4세대 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 관련 기술 R&D 예산은 297억원으로, 올해(198억원) 대비 50.5% 늘어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내년에 차세대 원전 R&D(연구개발) 예산을 50% 이상 확대한다.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했던 탈원전 정책을 뒤집으면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제4세대 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에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4조7000억원 규모의 '2023년도 국가 R&D 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마련해 '제2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확정한 국가 R&D 예산 배분·조정안은 올해(24조2000억원)보다 1.7% 증가한 규모다. 글로벌 경제 악화와 대외 불확실성 등의 여파로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던 전년에 비해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크게 낮아졌다.
내년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와 제4세대 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 관련 기술 R&D 예산은 297억원으로, 올해(198억원) 대비 50.5% 늘어난다. 또 반도체, 차세대 원전 등 국가전략기술과 우주, 양자, 인공지능·로봇 등 미래 첨단 산업 분야에 예산이 대거 투자된다. 또한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미래 모빌리티 등 5개 기술 분야에 대한 민간 R&D 수요를 국가 R&D 사업에 반영해 민간 주도 경제성장을 뒷받침한다.
우선,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5G·6G, 차세대 원전 등 전략산업 분야에 1조962억원을 투입한다. 이 가운데 반도체 분야에 올해보다 13.5% 늘어난 4128억원을 투자한다. 인공지능 반도체, 화합물반도체 등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팹리스 기업 지원 등을 통해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R&D 투자도 대폭 늘어난다. 우주, 양자, 인공지능·로봇 등 미래 첨단산업에 올해보다 11.2% 증가한 2조3900억원을 투자한다. 특히 우주 분야는 올해보다 22% 늘어난 6570억원을 투자해 한국형발사체,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등 핵심기술 개발과 독자적인 우주개발·활용 능력 확보에 집중한다.
그린 대전환, 디지털 대전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 그린 대전환 분야에 올해보다 3.7% 증가한 2조3300억원을 투자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동시에 저탄소·친환경 시장 선점을 지원한다. 디지털 대전환에도 2조4200억원을 지원해 디지털 융합·혁신을 가속화함으로써 신시장 창출과 지능형 공공서비스 제공을 돕는다. 아울러, 자연복합 재난, 생활안전, 사회적 약자 지원 등 국민 안전과 생활밀접 관련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특히 전 정부와 달리 민간 주도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국가 R&D 사업에 민관 협업투자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첨단바이오, 미래 모빌리티, 디지털 대전환 등 5개 기술 분야별 민간기업 R&D 협의체를 통해 발굴된 기술 수요를 각 부처의 신규 R&D 사업에 반영한다. 국방 R&D 분야에도 민관 공동으로 발굴한 과제를 반영하고, 산학연이 참여하는 국방기술개발사업 예산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 국가 전략기술 등 국가·사회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초·원천연구부터 성과 활용·확산에 이르는 전 주기를 지원하는 '기술 스케일업 R&D'를 신규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확정된 예산 배분·조정안은 오는 30일까지 기재부에 통보되며, 9월 중 내년 정부 예산안으로 확정해 국회에 송부될 예정이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재정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국가 전략기술 확보와 탄소중립 등 당면한 국가·사회적 과제를 과학기술을 통해 해결하고, 국가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R&D 투자 확대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옛 동료 생후 4개월 딸 눈에 순간접착제 뿌린 30대 여성…법원 "엄벌 불가피"
- `주점업주 사망 전 성폭행` 30대 중국인 1심 징역 3년에…"부당하다" 항소
- "쇠사슬·목줄 채우고 배설물 먹여"…성매매 업소 공포의 자매
- "웃통 벗고 사진 찍을까요"…`푸틴 조롱` 폭소터진 G7 회의
- 이근 "나 같은 사람이 우크라 안 돕는다? 그게 오히려 범죄"
- 與野 협치무드에 찬물… `강행처리 - 거부권` 악순환 예고
- 與野 합의 선거제 단일안 내달중 처리… 30일부터 전원위 가동
- 이재명 `당헌 80조 예외` 적용에… 다시 떠오른 `사법리스크`
- MZ 반발에 놀란 尹, 연일 정책 홍보 지시
- 31년만에 방첩사 찾은 尹 "방산 기밀 보호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