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증 재개 후 제주 여행온 몽골인 23명 '행방 묘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사증(무비자) 재개 후 제주에 여행온 몽골인 단체관광객 20여명이 잠적한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전세기를 타고 제주에 온 몽골 관광객 150여명 가운데 23명의 연락이 두절됐다.
사라진 몽골인들은 여행사측과도 연락이 끊긴 상태다.
무사증으로 제주에 들어오면 30일(7월21일까지)동안 체류할 수 있어 이들은 현재는 불법체류자 신분은 아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법체류 목적 잠적·브로커 개입 가능성 높아
(제주=뉴스1) 고동명 기자 = 무사증(무비자) 재개 후 제주에 여행온 몽골인 단체관광객 20여명이 잠적한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전세기를 타고 제주에 온 몽골 관광객 150여명 가운데 23명의 연락이 두절됐다.
이들은 여행 일정 마지막날이자 출국하기로 한 지난 26일 숙소에서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사라진 몽골인들은 여행사측과도 연락이 끊긴 상태다.
무사증으로 제주에 들어오면 30일(7월21일까지)동안 체류할 수 있어 이들은 현재는 불법체류자 신분은 아니다.
그러나 제주국제공항에는 제주와 몽골을 오가는 정기 항공편이 없다. 7월 9일과 같은달 14일 예정된 전세기를 타야한다.
제주특별법 35조에 따라 무사증 입국자는 도내를 벗어날 수 없고 제주에서만 출국해야해 인천을 통한 출국도 법적으로는 불가능하다.
만약 이들이 전세기를 타지 않을 경우 체류기간이 남았더라도 사실상 불법체류 목적으로 잠적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례는 아직 체류 기간이 남아 좀 더 지켜봐야지만 통상 한꺼번에 10명 이상이 무단이탈하면 브로커가 개입했을 가능성도 있다"며 "불법체류에 대비해 여행상품 가격을 높게 책정해도 완전히 차단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무사증이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외국인이 비자 없이 제주도에서 30일 동안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제도다.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 2월4일 일시 중단됐다가 2년2개월만인 지난 1일 재개됐다.
kdm@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남친 부모 '대졸·자산 4억'…'고졸·13억' 제 부모 무시합니다"
- "부부관계 주 4회, 외도 벌금 65억"…로페즈♥애플렉 '혼전 계약서'
- 신평 "국민들, 尹에서 멀어지고 있다…尹 보수만 찾고 檢중심"
- "女직원 몸에 이름 쓰고 BB탄 쐈다"…재산 1천억 IT거물 갑질
- "연진이, 동은이 남친 뺏었네"…임지연♥이도현 3주 전 인증글
- '47세' 채정안, 해변서 뽐낸 늘씬 비키니 자태 [N샷]
- '55세 머슬퀸' 이소영 "젊은 남자들이 자꾸 대시해서 고민"
- 김소연♥이상우, 손 꼭잡고 봄 데이트 '달달'
- 화사, 과감한 상의 탈의? 환상적인 레깅스핏
- 故터틀맨, 오늘 사망 15주기…여전히 그리운 거북이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