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소독제로 지폐 닦으면 위조지폐 오인 가능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 위폐방지 실무위원회가 올 상반기 정기회의를 열어 위조지폐 현황을 점검하고 유통을 막기 위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지난 2004년 위조지폐 대응 기관 간 협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폐방지 실무위원회는 한국은행과 국가정보원, 경찰청, 관세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조폐공사 등 6개 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정기회의에서는 최근 손 소독제로 지폐를 닦았다가 위조지폐로 오인되는 사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4년 위조지폐 대응 기관 간 협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폐방지 실무위원회는 한국은행과 국가정보원, 경찰청, 관세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조폐공사 등 6개 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위원회는 매년 상·하반기에 1회씩 정기회의를 진행한다. 이번 정기회의에서는 최근 손 소독제로 지폐를 닦았다가 위조지폐로 오인되는 사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위원회는 손 소독제의 글리세린 성분이 지폐의 가로 길이를 늘어나게하면서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이를 위조지폐로 인식해 이와 같은 사례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위원회는 현금을 통한 코로나19의 감염 가능성이 크지 않아 위조지폐를 손 소독제로 닦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1월 미국 브리검영 대학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폐에 묻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30분이 지나면서 99% 이상 감소했고, 상점에서 실제 사용 중인 지폐들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위원회는 또 최근 신용카드나 모바일 페이 등 비현금 지급수단 이용이 활성화하면서 위폐 발견 건수는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하면서 대면 상거래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 위폐에 대한 경계감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Copyrights ⓒ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