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목전에 둔 이어령이 전하려 한 마지막 얘기 '눈물 한 방울'

성도현 2022. 6. 28.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눈물 '툭' 떨어진 순간들 기록..가족·죽음 등 일상 속 단상 담아
아플 때마다 검정 스케치북 꺼내 손으로 쓴 시·수필 110편 공개
이어령의 육필원고 중 '눈물 한 방울' [김영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나에게 남아 있는 마지막 말은 무엇인가? 시인들이 만들어 낸 말은 아닐 것이다. 지상에는 없는 말, 어느 맑은 영혼이 새벽 잡초에 떨어진 그런 말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말이 있는지 나는 알 수 없다. 죽음이 죽는 순간 알게 될 것이다."

'시대의 지성' 고(故)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은 올해 1월 23일 새벽 검정 스케치북을 꺼내 죽음에 대한 단상을 213자로 적었다. 항암 치료를 거부한 그는 투병 중 아플 때마다 이 노트를 펼치고 글을 썼다. 죽음에 관한 짧은 이 글은 그가 세상을 떠나기 한 달 전 마지막으로 적은 것이다.

죽음을 목전에 둔 이 전 장관이 병상에서 쓴 미공개 육필원고 '눈물 한 방울'(김영사)이 30일 출간된다. 시와 수필 110편에 그가 손수 그린 그림도 함께 담겼다. 2019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27개월간의 기록이다.

이 전 장관은 에세이, 소설, 시집, 희곡과 시나리오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160여 권의 책을 썼지만, 자서전이나 회고록을 남기진 않았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서 눈물이 '툭' 떨어진 순간의 단상과 내밀한 고백이 담긴 이 책이 사실상 유일한 자서전이자 회고록과 마찬가지다.

이어령이 병상에서 쓴 노트 [김영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가 전하려 한 마지막 말은 '디지로그'와 '생명자본'에 이은 '눈물 한 방울'이다. 그는 책에서 짐승과 달리 인간은 정서적 눈물을 흘릴 수 있고, 인공지능(AI)은 아무리 뛰어나다고 해도 눈물은 흘리지 못한다고 말한다. 또 나와 다른 이도 함께 품고 살아가는 세상에서 관용의 눈물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전 장관은 서문에서 "자신을 위한 눈물은 무력하고 부끄러운 것이지만 나와 남을 위해 흘리는 눈물은 지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힘 있는 것"이라며 "인간을 이해한다는 건 인간이 흘리는 눈물을 이해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밝힌 눈물이 핑 도는 순간은 다양하다. 옛 책을 읽다가 자신도 늙고 책도 낡았다고 느껴질 때, 손으로 쓴 전화번호 책에서 아련한 얼굴을 떠올릴 때, 구두끈을 매다가 아버지 신발의 가죽 냄새가 기억날 때, 외갓집에서 깃털 묻은 달걀을 받아들고 외할머니 손의 열기를 생각했을 때 등이다.

그는 책에서 상상력의 원천이라고 했던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암으로 투병하다가 먼저 세상을 떠난 딸 이민아 목사에 대한 그리움도 표현했다.

김소월의 시 '엄마야 누나야' 속에 나오는 모래를 떠올리며 "나는 지금 아직도 모래알을 세고 있다. 어머니의 사랑 다 헤지 못하고 떠난다"고 적었고, 지난해 7월엔 암 선고를 받고 난 뒤 처음 어머니의 영정 앞에서 통곡했다고 썼다. 딸의 8주기엔 "민아야 내 아직 살아 있는 것이 미안하다"고 했다.

이어령의 육필원고 [김영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책에서는 이 전 장관이 죽음에 점점 다가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죽음은 열매처럼 익어간다. 먹어볼 수는 없지만 떫고 아릴 것"이라고 했다가 "배가 아프다. 음식을 먹을 수 없다"고 말한다. "살고 싶어서 내 마음은 흔들린다"고 했다가 첫눈을 보며 "내년 이맘때 나도 없을 것"이라고 마음을 내려놓는다.

어느 날엔 "많이 아프다. 아프다는 것은 아직 내가 살아 있다는 신호다. 아픔은 생명의 편이다, 가장 강력한 생의 시그널"이라고 표현했고, 다른 날엔 "한밤에 눈뜨고 죽음과 팔뚝 씨름을 한다"며 병마와의 사투를 전했다. 지난해 12월 말엔 "이제 떠난다. 감사한다. 내 낙서도 끝이 난다"고 적었다.

그는 힘겨운 싸움 속에서도 창조적 사고의 끈을 놓지 않았다. 클레오파트라, 이상과 정지용, 공자와 노자 등의 인물을 문학, 철학, 예술, 물리학 등의 지식과 어우르며 이질적인 개념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사유를 펼쳐 보인다.

물레로 실을 뽑는 건 연속체인 아날로그이며 천을 짜는 베틀은 디지털이라고 말하고, 다수의 반대 속에서 이뤄진 인공위성 발사와 에펠탑 준공을 임신과도 연결하며 "유용성을 넘어선 엄청난 의미가 있다"고 강조한다.

주목(注目)과 유목(遊目)이란 단어를 언급하면서는 세상일을 주의 깊게 바라본 공자와 자연의 모든 것을 물끄러미 바라본 노자의 시선을 대비한다. 또 어항 속 금붕어를 보여주면 서양 학생은 자신이 관심을 둔 금붕어만 집중적으로 그리지만, 한국 학생은 어항 속 수초나 돌도 그린다며 동서 문명의 차이와 연결 짓는다.

raphae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