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 주담대 10명 중 8명 '변동형' 선택..금리 치솟아 이자 부담 '눈덩이'

김현주 2022. 6. 28. 09: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치솟는 물가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하면서 내달 한국은행도 빅스텝(0.50%p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커진다.

기준금리가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면서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상환 부담은 점점 더 불어나는 상황이다.

대출을 받는 차주 10명 중 8명이 변동금리를 택하고 있는 셈이다.

빠른 속도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면서 변동금리를 택한 차주들의 월 상환 부담도 가중되는 상황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달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0.5%p 인상 가능성
뉴시스
 
치솟는 물가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하면서 내달 한국은행도 빅스텝(0.50%p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커진다. 기준금리가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면서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상환 부담은 점점 더 불어나는 상황이다. 여기에 물가까지 치솟으면서 `영끌족'의 이중고는 심화될 전망이다.

28일 뉴시스와 금융권과 각사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형(혼합형) 금리는 전날 기준 연 4.7~6.4%로 나타났다. 은행별로 ▲국민 4.70~6.20% ▲신한 4.72~5.55% ▲하나 5.100~6.400% ▲우리 5.41~6.20% ▲농협 4.73~6.13% 수준이다.

신규 코픽스 연동 변동금리는 3.63~5.796%로 고정형보다 낮게 형성돼 있다. 하단이 1.07%p, 상단이 0.604%p 각각 낮다. 은행별로 ▲국민 3.69~5.19% ▲신한 4.22~5.27% ▲하나 4.496~5.796% ▲우리 4.28~5.27%▲농협 3.63~4.63% 수준이다.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주담대 차주들의 선택은 당장 고정금리보다 낮은 변동금리로 몰리고 있다. 가계 고정금리대출 비중은 4월 22.7%에 그쳤다. 2020년 4월 34.3%, 2021년 4월 28.9%에서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 대출을 받는 차주 10명 중 8명이 변동금리를 택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다수 차주들이 계속되는 금리 인상 리스크에 노출된 상황이다. 4억원을 40년 만기,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빌릴 때 금리 4%에서 월평균 이자액은 83만8421원, 총 이자는 4억244만1861원 규모다.

같은 조건에서 금리가 4.5%로 올라가면 월평균 이자액은 96만4918원, 총 이자는 4억6316만647원으로 증가한다. 금리 5%가 되면 월평균 이자액은 109만5453원, 총 이자는 5억2581만7473원으로 불어난다.

전쟁 장기화로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잇달아 올리고 있다. 미 연준이 자이언트스텝을 밟으면서 한은도 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빠른 속도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면서 변동금리를 택한 차주들의 월 상환 부담도 가중되는 상황이다.

손호성 DS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는 1.75%로 동일하지만 시장금리인 한국통안채 6개월물과 미국의 리보금리 6개월물로 본 한국과 미국 시장의 금리는 이미 역전됐다"며 "미국의 7월 금리인상 후 역전된 금리차가 더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손 연구원은 "한은은 미국과의 금리역전과 원화약세 심화 가능성, 과도한 금리인상에 의한 국내경기 악화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다음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연준의 0.75%p 인상이 유력함에 따라 한은은 추가적 자금유출과 원화약세 심화에 대한 우려로 미국 금리인상 행보와 결을 같이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