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반려견 순찰대' 확대.."지역 안전 돌보는 효과"
거리와 골목을 산책하면서 동네에 도움이 필요한 곳이나 위험한 상황을 찾아내는 ‘반려견 순찰대’가 서울 5개 자치구로 확대 운영된다. 반려견 순찰대는 주민이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면서 거주지 곳곳의 범죄 위험 요소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지난 5~6월 서울 강동구에서 시범 운영됐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는 하반기 서울 반려견 순찰대를 5개 자치구로 확대해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위원회는 반려견 순찰대 정책을 시범 운영해본 결과 공동체 치안문화를 형성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반려견 순찰대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민이 늘어나면서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산책과 순찰을 접목해 주민이 치안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안된 아이디어다. 동네 곳곳에 ‘지켜보는 눈’을 늘려 잠재적 범죄 요인을 줄이는 것이 정책 목표다.
참여자들은 위험 요소를 발견하거나 위급한 상황이 벌어지면 112나 120(다산콜센터)으로 신고하면 된다. 지난 5월 한 달간 강동구 반려견 순찰대는 주취자 신고, 가로등 고장, 도로 파손 등 총 87건을 신고했다.
위원회는 7월부터 권역별로 5개 자치구를 선정할 계획이다. 자치구 한 곳당 50명 내외의 순찰대를 12월까지 운영한다. 각 자치구는 독거노인 동행, 어린이 등하굣길 안전 산책 등 특화 프로그램도 진행하게 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자치구는 다음 달 1일까지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로 신청하면 된다.
위원회는 선발된 순찰대에 범죄예방 및 생활안전 등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반려견 행동교육과 범죄예방교실 운영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운영 효과 등을 분석해 내년까지 더 많은 지역으로 정책을 확대할 방침이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반성도 안 하는데 왜 굽히나”…윤 지지자도 등 돌렸다
- 김건희 도이치 계좌 모른다, 모른다···권오수를 가리키는 진술들
- “현빈·손예진 이혼?”···유튜브 ‘가짜뉴스’ 넘쳐나
- 92세 언론재벌 머독, 다섯 번째 결혼 발표
- “뺑뺑이만 2만보”“주말 롯데월드냐”···동원예비군 리오프닝에 ‘헬’
- ‘전두환 사용’ 옛 지방청와대 명품가구 경매에 부친다
- ‘나는 신이다’ JMS 정명석 측 증인 출석 안 시켜 재판 ‘파행’
- 천하람 “포괄임금제 95%는 무효···정반대 방향으로 가야”
- “문재인 전 대통령, ‘이재명 외 대안 없다’” 전언, 진짜인가
- 윤 대통령, 일본에 선물만 안겼나···기시다 지지율만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