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관계의 가지치기/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2022. 6. 28.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거리두기가 멈췄다.

햇수로 3년 만에 거리는 사람들로 넘치고 택시잡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위와 간에 미안해지는 마음에 누구를 만나고 있나 둘러보니 90%가 잘 아는 사람들이었다.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으로 바로 대체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거리두기가 멈췄다. 햇수로 3년 만에 거리는 사람들로 넘치고 택시잡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얼굴 한번 보자는 말이 마치 성공하면 만나자는 기약 없는 약속 같았는데, 당장 날을 잡자는 말로 들려 부담이 된다. 어느새 캘린더에 약속이 빼곡해졌다. 위와 간에 미안해지는 마음에 누구를 만나고 있나 둘러보니 90%가 잘 아는 사람들이었다. 전에는 새로운 사람을 알게 되는 재미가 쏠쏠했는데, 지금은 좁은 반경의 도돌이표다. 새로 친해졌다 싶은 사람은 5년을 돌아보면 몇 명 안 된다. 이제는 체력도 안 되고 혼자 있는 시간도 필요해졌지만 너무 폐쇄적인 삶을 사는 게 아닌지 살짝 염려가 됐다.

한 연구를 보니 이게 나만의 변화는 아니었다. 18~93세 사이 사람들의 인생을 연령대별로 30년씩 3기로 나누었다. ‘친구’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20~23명 정도로 시작해 40대 중반에 피크를 이뤄 평균 25명 정도가 된다. 50이 넘으면서 줄어들기 시작해 60을 넘어 75세가 되면 20명 정도로 뚝 떨어졌다. 나이가 들면 생활 반경도 줄어들고, 서로의 건강도 좋지 않으니 만날 수 있는 친구의 수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일종의 타의에 의한 제한이다. 하지만 50대부터 줄어드는 건 납득이 어렵다. 연구에서는 친구를 아주 가까운 관계와 그렇지 않은 관계로 다시 나누었다. 그랬더니 인생 후반기에 가까운 친구의 수는 늘거나 완만하게 균형을 이루고, 그렇지 않은 관계는 확연히 줄면서 역전이 됐다. 즉 모든 관계가 줄어드는 게 아니고 가까운 관계는 확실히 방어하거나 착실히 늘려 갔으니 관계의 질의 측면에서는 호전된 셈이었다.

중년기에 관계의 반경을 좁히는 건 ‘에이징’의 불가피한 결과물이 아닌 능동적 선택에 가까웠다. 청년은 미래의 가능성을 본다. 새로움에 투자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새로운 관계는 투자, 모험, 호기심, 즐거움으로 경험한다. 실패와 갈등의 손실이 덜 아프다.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으로 바로 대체된다.

하지만 50대가 넘으면서 이제 서서히 끝이 보인다. 저 멀리 종착점이 언덕 하나 넘으면 있을 것만 같다. 그게 바로 내일이 될지도 모른다. 하루의 선택에 신중해진다. 한마디로 시간에 대한 태도가 달라진다. 하루하루가 소중해지며 허투루 보내서는 안 된다고 여긴다.

미래의 불확실한 보상보다 오늘의 확실한 만족과 의미를 택한다. 사교적이고 피상적인 네트워크의 가치는 떨어지고 가까운 사람을 한 번이라도 더 만나고 싶어진다. 잔가지를 잘라내 확실한 줄기에 영양분을 몰아주는 가지치기를 하는 것과 같다.

중년에 들어서면 이렇게 관계의 가지치기를 하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이 된다. 나무둥치로 단단히 자리잡은 친교의 굵기는 노년기 건강에 최고의 보험이 되는 셈이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니 내 선택에 안심이 됐다. 좌절이나 우울의 신호가 아닌 자연스러운 내면의 변화였다. 코로나를 핑계로 연락을 미뤘던 친구에게 문자를 쓴다. “얼굴 한번 보자.”(넌 선택된 거야)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