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채 디폴트 인정 거부
러시아 정부가 27일(현지시간) 외화 표시 자국 국채에 대한 채무불이행(디폴트) 판정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러시아 재무부는 이날 “국채 의무가 발행 문서에 따라 완전히 이행됐다”면서 “하지만 국제 결제 기관이 미리 자금을 다 받고도 이 자금을 최종 수혜자에게까지 전달하지 못했고 이에 필요한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고 인테르팍신 통신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측은 이어 “채권 발행 문서에 따르면 채무자 측의 (원리금) 지급이 없을 때만 디폴트가 되는데 이번에는 미리 5월 20일에 지급이 이루어졌다”면서 “이 경우 투자자들이 자금을 수령하지 못한 것은 미지급 때문이 아니라 발행 문서에 직접 규정되지 않은 제3자의 행동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외국 금융 중개기관들의 조치는 러시아 재무부의 통제 밖에 있음을 고려할 때 원리금을 받지 못한 투자자들은 해당 금융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이날 기자들에게 “이 상황을 디폴트라 부를 근거가 없다”며 “디폴트 관련한 주장은 완전히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가 5월 만기 채권의 이자를 지급했고, 서방의 제재로 개별 투자자에게 이자 대금이 입금되지 않은 것은 러시아의 책임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전날까지 갚아야 할 외화 국채의 이자 약 1억달러(약 1천300억원)를 투자자들에게 전달하지 못하면서 외화 표시 국채 디폴트 상황에 빠졌다. 외채에 대한 러시아의 디폴트는 볼셰비키 혁명 이후 100여 년 만이다.
김유진 기자 yjkim@kyunghyang.com
Copyright©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른 삶]한국은 ‘얼죽아’…중동에는 보약 같은 ‘뜨죽아’가 있다
- “올라도 너무 올랐다”…아파트값 ‘2차 조정기’ 시작되나
- ‘한국길’ 열린 유승준, 팬들과 자축분위기···“콘서트 열어달라”
- 조계종, 자승 스님 유언장 공개···“끝까지 함께 못해 죄송·수행 소홀 반성”
- ‘산재 청문회’ SPC·DL 회장들에 쏟아진 질책…국민의힘은 불참
- 이동관 “대통령 충정에 사임…언론 정상화 기차는 계속 달릴 것”
- 키 작고 중이염 자주 앓는 딸··· ‘이 질환’이라면 호르몬 치료 필요
- [속보] 이스라엘-하마스 간 일시 휴전 종료···이스라엘군 “전투 재개”
- “대통령 영어 연설이 표심 자극했다”…장밋빛 전망만 내놓던 엑스포유치위
- ‘자승스님 입적’ 칠장사 화재…“요사채 좌측방 발화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