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비지원 거래소 "금감원 협의회 배제, 독과점 심화 유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 가상자산 거래소를 대변하는 한국디지털자산사업자연합회(KDA)는 금융감독원이 5개 원화 지원 가상자산 거래소를 대상으로 '가상자산리스크협의회'를 운영하려는 것에 반발하는 성명서를 27일 발표했다.
KDA는 코인마켓 거래소도 ▲특금법의 동일한 기준에 의해 금융정보분석원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자금세탁 등의 의무 준수를 규율받고 있는 점 ▲테라 폭락 사태 이후 정부 당국이 추진 중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리스크 공동 대응 취지에 공감하고 공동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는 점 ▲향후 원화 거래소들이 마련하는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수용하기로 한 점 등을 감안해 금융감독원이 추진 중인 협의회에 코인마켓 거래소들이 참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윤희 기자)중소 가상자산 거래소를 대변하는 한국디지털자산사업자연합회(KDA)는 금융감독원이 5개 원화 지원 가상자산 거래소를 대상으로 '가상자산리스크협의회'를 운영하려는 것에 반발하는 성명서를 27일 발표했다.
금융감독원은 5개 원화거래소 준법감시인과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 첫 회의를 오는 28일 진행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투자 위험성 제고, 상장 및 상장 폐지 공통 기준 마련, 정보 비대칭성 완화 등을 다룰 것으로 알려졌다.
성명서는 이에 대해 정부 당국이 원화 거래소 중심 독과점 체제를 인정하는 것을 넘어, 촉진하는 행보라고 비판했다.
KDA는 코인마켓 거래소도 ▲특금법의 동일한 기준에 의해 금융정보분석원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자금세탁 등의 의무 준수를 규율받고 있는 점 ▲테라 폭락 사태 이후 정부 당국이 추진 중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리스크 공동 대응 취지에 공감하고 공동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는 점 ▲향후 원화 거래소들이 마련하는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수용하기로 한 점 등을 감안해 금융감독원이 추진 중인 협의회에 코인마켓 거래소들이 참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강성후 KDA 회장은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와 건전 생태계 조성에는 원화 및 코인마켓 거래소 구분이 없기에 현재 진행 중인 공동 가이드라인을 가급적 조속한 시일 내에 기초안을 공개하고 공론화 과정을 거쳐 나가겠다"며 "협의회 코인마켓 거래소 참여 방안도 금융 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관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윤희 기자(kyh@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소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 상장' 공동 가이드라인 만든다
- 새출발 '고팍스', 가상자산 수수료 인하 메기 될까
- "가상자산 거래소 평가, 은행 아닌 전문 'FIU'가 맡아야"
- KDA "가상자산 거래소 은행 제휴 확대 정책적 지원 필요"
- SKT 해킹 후폭풍…하루 만에 가입자 1665명 이탈
- SKT 유심 해킹 피해 걱정되면 꼭 읽어보세요
- 이재명 "반도체특별법 제정…최대 10% 생산세액 공제"
- 역대 최대 실적 거둔 LG CNS, AI 기반 글로벌 사업 가속
- "20주년 아이폰, 가격 인상 불가피"…그런데 얼마나?
- 수소차 누적 5만대 '눈앞'…수소 충전·공급망 구축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