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대 연구팀, 촉매 개발용 빅데이터 알고리즘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 연구팀이 촉매 연구에 필요한 빅데이터 수집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27일 켄텍에 따르면 이 대학 구근호 교수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정유성 교수와 함께 촉매 연구에 중요한 흡착물 빅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 연구팀이 촉매 연구에 필요한 빅데이터 수집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27일 켄텍에 따르면 이 대학 구근호 교수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정유성 교수와 함께 촉매 연구에 중요한 흡착물 빅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촉매 학계는 2000년대 보급된 양자 계산을 통해 새로운 촉매를 디자인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으며 이 기술을 적용해 물 분해 기반 수소 생산, 이산화탄소 저감 기반 화합물 생산 등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양자 계산은 큰 분자에 적용하기에 번거로워 관련 연구는 뒤처지는 실정이다.
구 교수 연구팀은 흡착물 자동 수집 알고리즘을 개발해 최대 6개 탄소와 산소로 이뤄진 흡착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촉매에 따라 흡착할 수 있는 분자가 다르고, 촉매가 중요한 분자를 선택적으로 흡착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구 교수는 "반응물을 원하는 물질로 만들려면 두 도시 간에 철도를 놓듯 중간체로 이뤄진 길을 만들어줘야 한다"며 "만약 두 물질 사이 길이 없으면 원하는 물질이 형성되지 않고 특정 촉매만 길을 갖고 있다면 선택성이 높은 촉매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촉매들의 반응 지도 제작, 바이오매스(단위 면적당 생물체 중량) 전환, 플라스틱 재활용, 신약 개발 등에 유용할 것이라고 구 교수는 기대했다.
sangwon70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술 취해 에어컨 줄에 걸려 7층 높이 외벽에 매달린 20대 구조(종합) | 연합뉴스
- 생밤 까먹다 목에 걸린 50대…간호사 응급조치로 위기 넘겨 | 연합뉴스
- "여자 화장실 몰카는 성 착취물 아냐"…유죄→무죄 뒤집힌 이유 | 연합뉴스
- 브리트니 스피어스 칼춤에 경찰 출동…지인 "걱정된다" 신고 | 연합뉴스
- 빗길 무단횡단 노인 치어 사망…제한 속도 위반했지만 무죄 | 연합뉴스
- 영국 '로빈 후드 나무' 밤사이 '댕강'…16세 소년 체포 | 연합뉴스
- "가스회사 다니는데"…소개팅 앱으로 만난 상대에 돈 뜯은 70대 | 연합뉴스
- "롤모델, 전설"…'덤블도어' 갬본 별세에 해리포터 동료들 애도 | 연합뉴스
- 추석 전날 지인에게 '그만 살고 싶다'…40대 수색 중 발견 | 연합뉴스
- 음주·도주로 면허취소 40대…엄마 차 몰고 또 사고 내 법정구속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