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마진 사상 최고치 경신..배럴당 30달러 육박

김기훈 2022. 6. 27. 15: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 유가 하락에도 휘발유·경유 등 석유 제품의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정제마진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최근 정제마진이 다시 급등세를 보이는 것은 국제 유가 하락에도 국제 휘발유·경유 가격이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각각 2천133.21원, 2천152.15원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정제마진 29.5달러..유가하락에도 휘발유-경유 가격 안내려
고유가 부담 완화…7월부터 유류세 인하폭 37%로 확대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다음 달 1일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30%에서 37%로 확대되는 가운데 대한석유협회, 한국석유유통협회, 한국주유소협회 등 석유산업 관련 협회들은 유류세 인하 효과가 최대한 빨리 나타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27일 밝혔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은 정부의 민생물가 안정대책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7월 1일부터 인하분을 즉각 반영해 공급하고, 직영주유소는 당일부터 즉시 가격을 인하할 계획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주유소 모습. 2022.6.27 ryousant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국제 유가 하락에도 휘발유·경유 등 석유 제품의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정제마진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2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6월 넷째 주(20∼24일) 주간 평균 싱가포르·두바이 복합 정제마진은 전주보다 5.09달러 오른 배럴당 29.5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7달러)과 비교하면 17.4배 높은 수준이다.

정유사의 핵심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수급 불안 등의 여파로 상승하기 시작해 3월 넷째 주(13.87달러)에 역대 최고치를 찍은 뒤 5월 첫째 주(24.2달러)까지 매주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후 오름세가 한풀 꺾이는듯했지만, 6월 셋째 주 배럴당 24.41달러를 기록하며 다시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고 이제 30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게 됐다.

정유사들은 원유를 수입해 정제한 뒤 이를 다시 휘발유·경유 등으로 만들어 파는데 정제마진이란 최종 석유제품의 가격에서 원유를 포함한 원료비를 뺀 마진을 말한다. 정유 업계에서는 정제마진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최근 정제마진이 다시 급등세를 보이는 것은 국제 유가 하락에도 국제 휘발유·경유 가격이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원유 가격 하락에도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것은 석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워낙 견조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윤재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유가 급락에도 불구하고 제품 가격 하락 폭은 미미해 오히려 정제마진은 대폭 개선됐다"며 "수급이 타이트한 휘발유, 경유의 개선 폭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은 날마다 최고가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각각 2천133.21원, 2천152.15원을 기록했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이달 11일 2천64.59원을 기록하며 10년 2개월 만에 역대 최고가 기록(2012년 4월 18일 2천62.55원)을 갈아치웠다.

또 국내 경유 가격은 이미 지난달 12일 1천953.29원을 기록하며 기존의 최고가(2008년 7월 16일 1천947.74원)를 경신한 데 이어 매일 신기록을 세우고 있다.

전례 없는 정제마진 초강세가 이어지며 국내 정유사들도 정제설비 가동률을 끌어올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GS칼텍스는 최근 가동률을 90% 중반까지 올렸으며 나머지 정유업체들도 모두 90%가 넘는 정제설비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픽] 국내 휘발유·경유 합계 소비량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5월 국내 휘발유·경유 소비량이 전월보다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석유공사의 석유정보 사이트 페트로넷에 따르면 5월 국내 휘발유·경유 합계 소비량은 2천482만2천배럴로 4월보다 43.0% 증가했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한편 5월 국내 휘발유·경유 소비량은 전월보다 40% 이상 증가하며 견조한 수요를 보였다.

한국석유공사의 석유정보 사이트 페트로넷 통계를 보면 5월 국내 휘발유·경유 합계 소비량은 2천482만2천배럴로 4월보다 43.0% 증가했다.

5월 1일부터 시행된 유류세 인하 폭 확대를 계기로 그간 억눌려있던 휘발유·경유 대기 수요가 늘어나면서 소비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류 소비량은 정유사에서 주유소에 판매한 물량의 총합을 의미하는데 5월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확대됨에 따라 일선 주유소에서 인하 후의 물량을 대폭 확보하면서 소비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kih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