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하수 수질 관측 체계 강화..측정망 32개소→67개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 지하수 수질 관측 체계가 보다 강화된다.
제주도는 도내 16개 유역의 대수층별 지하수 수질을 관측하기 위한 수질전용측정망을 기존 32개소에서 67개소로 확대하고, 오염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고 27일 밝혔다.
지하수 수질전용측정망은 각각의 대수층을 구분해 관측하는 수질 측정 시설로, 수질 상태를 더욱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시도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주 지하수 수질 관측 체계가 보다 강화된다.
제주도는 도내 16개 유역의 대수층별 지하수 수질을 관측하기 위한 수질전용측정망을 기존 32개소에서 67개소로 확대하고, 오염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고 27일 밝혔다.
화산섬인 제주도에서는 지하수가 1∼2개의 대수층을 따라 흐른다. 지표에 가까운 상부 대수층은 오염에 취약하지만, 땅속 깊은 지하수는 수질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보인다.
2017년 가축분뇨 무단배출 사고가 발생한 한림읍 지역의 지하수 오염조사 결과, 상·하부 대수층의 수질 상태가 극명하게 다르게 나타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하수 수질전용측정망은 각각의 대수층을 구분해 관측하는 수질 측정 시설로, 수질 상태를 더욱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시도된다.
도는 2025년까지 총 67개소의 수질전용측정망을 구축해 수질 관측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오염도가 높은 한림·한경·대정 서부지역에는 22개소의 측정망을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오염도가 지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는 조천·구좌지역에도 10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허문정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은 "제주도에 특화된 수질 관측 체계를 구축해 지하수 자원을 보호하고 지속 이용 가능한 수질관리의 틀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bjc@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나이 속여 美뉴저지 고교 입학한 29세 한인여성…나흘만에 체포 | 연합뉴스
- 뇌병변 딸 살해하고 선처받은 엄마…검찰도 항소 포기
- 빙속 김민석, 벌금 800만원 구형…동계 올림픽 출전 '빨간불'
- 올해 호주오픈도 조코비치로 시끌…'아버지 친러시아 논란'
- 中농구스타 '여성 편력' 자랑했다 징계…"성차별" 거센 비판
- 영, 남성 강간범 성전환 후 여성 구치소 논란…결국 이송키로
- SNS로 알바 모집해 전국서 강도 행각…일본 열도 '발칵'
- 사냥철 끝나면 버려지는 개들…스페인 동물보호법안에 찬반 시끌
- 가수 샘김 부친 미국서 강도 총격에 사망…소속사 "깊이 애도" | 연합뉴스
- 갓난 아이 살해하려 화장실에 방치…20대 엄마 징역 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