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美 낙태권 폐기 판결에 근무지 자유 이전 허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연방대법원의 낙태권 보장 판례 폐기 판결이 내려지자 구글은 직원들의 근무지 자유 이전을 허용한다고 25일(현지시간) 더버지 등 외신이 보도했다.
미국은 이번 대법원 판결에 따라 낙태권 제한 여부는 각 주 관할로 넘어가게 됐다.
테사스·미주리·켄터키주 등은 대법원 판결 직후 낙태금지를 선언했다.
엔가젯에 따르면, 이번 판결 몇 시간 뒤, 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생리 기간 관리 애플리케이션 플로(Flo)가 익명 모드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윤상은 기자)미국연방대법원의 낙태권 보장 판례 폐기 판결이 내려지자 구글은 직원들의 근무지 자유 이전을 허용한다고 25일(현지시간) 더버지 등 외신이 보도했다.
구글의 피오나 치코니 최고인사책임자(CHRO)는 직원들에게 "이유 없이 근무지 이전을 신청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이메일을 보냈다. 그는 "이번 판결이 건강, 삶, 커리어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몇 개월 전부터 근무지 재배치 요청 1만건 중 85%를 승인한 바 있다.
미국은 이번 대법원 판결에 따라 낙태권 제한 여부는 각 주 관할로 넘어가게 됐다. 테사스·미주리·켄터키주 등은 대법원 판결 직후 낙태금지를 선언했다. 반면 구글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주는 낙태 권리를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변화의 영향은 미국 IT 업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엔가젯에 따르면, 이번 판결 몇 시간 뒤, 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생리 기간 관리 애플리케이션 플로(Flo)가 익명 모드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윤상은 기자(sangeun@zdnet.co.kr)
©메가뉴스 & ZDNET, A RED VENTURES COMPANY,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美 낙태금지법 허용, IT 기업에도 직격탄
- 미국의 낙태권 논쟁, 그리고 작지만 강한 언론 이야기
- 美 상원의원 "구글·애플, 낙태권 찬성 이용자 보호해야"
- 美 낙태금지 공방, 구글을 정조준하다
- 인텔 공동 창업자 고든 무어 별세…'무어의 법칙' 창시
- [ZD브리핑] 이번 주 꼭 챙겨봐야 할 뉴스
- "창업자 샘 알트먼, 오픈AI 지분 하나도 없다"
- "韓 양자암호기술, '연구 쏠림' 현상 탓에 美보다 10년 뒤처져"
- 완성차 업계, 중고차 시장 진출 본격화…'골목상권 파괴' vs '소비자에 유리'
- LG, 'AI 해커톤' 개최...청년 인재 양성 앞장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