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부처에 'MZ 보좌관'.. 尹 "청년 목소리 국정 반영"
정부는 국정 전반에 청년세대의 인식을 반영하고 청년이 직접 정책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청년보좌역’을 기획재정부 등 9개 부처에 신설한다고 26일 밝혔다. 만 19~34세 지원자를 공개 모집해 부처당 1명을 선발하고, 5급 상당의 별정직 공무원으로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청년보좌역을 신설하는 부처는 기획재정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이다. 윤 대통령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됐던 청년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해 청년들의 목소리가 국정 전반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심도 있게 논의해왔다”고 했다. 국무조정실은 “중앙 부처에 ‘젊은 피’를 수혈해 국정 운영에 활기를 불어넣자는 취지”라고 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디지털 플랫폼 정부 전환을 전제로 “30대 장관이 많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으나 실제 1기 내각에서 30대 장관을 배출하지 못했다. 청년보좌역 신설은 그에 따른 보완책으로 보인다.
청년보좌역들은 각 부처·위원회의 장관실에 배치돼 독립적으로 근무하며 청년세대 인식이 정책에 반영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발 절차는 8월쯤 마무리될 예정이고, 우선 9개 부처에서 시범 운영한 뒤 전 부처로 확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총리실 관계자는 “전문 임기제 등 일반직 공무원으로 채용하게 될 경우 학위, 경력이 진입장벽이 될 수 있어 자격 기준이 상대적으로 덜 까다로운 별정직 공무원으로 채용하기로 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주요 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전달할 MZ세대(만 19~39세) 중심의 ‘2030 자문단’도 부처별로 만들어 8월 중 출범해 운영할 예정이다. 청년보좌역을 포함한 비상임 단원 20명이 정책 모니터링, 정책 제언, 청년 여론 수렴 및 전달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단원은 성별 균형과 수도권·비(非)수도권 간 지역 균형을 고려해 선발할 예정이고 임기는 2년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마트 새해 新마케팅 ‘고래잇 캠페인’, 가격 혁신 넘어 마케팅 혁신까지
- ‘국산 첫 FDA 항암제’ 환자생명 연장 효능… ‘1호 블록버스터’ 성큼
- ‘암세포 유도미사일’ ADC에 삼성바이오 뛰어든다
- ‘복제약 원료’ 국산 바꾸면 약값 우대
- “돈 넣어라, 조만간 뜬다”… 작전 세력, 美 증시로 옮겨갔나
- [주식 매매 상위 종목 및 환율] 2025년 1월 14일자
- “환율 1400원대 후반 된 건 정치 불안 때문”
- [신문으로 배우는 실용한자] 습설(濕雪)
- [입에 착착 붙는 일본어] (새) 옷을 입다
- [매일매일 중국어 한마디] 한번 쓰다듬다, 만져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