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성소수자 축제 직전, 게이바서 총기 난사 2명 사망
테러 경보 발령에도 "차별 반대" 수천명 나와 연대 거리행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25일 새벽(현지시간) 이슬람 테러 공격으로 추정되는 총기 난사가 벌어져 최소 2명이 숨지고 21명이 다쳤다. 노르웨이 경찰은 이날 사건이 성소수자 축제인 ‘프라이드 퍼레이드’ 행사를 몇시간 앞둔 시점에 게이바에서 벌어진 점 등을 이유로 혐오범죄일 가능성도 조사 중이다. 성소수자 권리 향상에 앞장서온 ‘다양성의 나라’ 노르웨이는 충격 속에서도 성소수자 차별에 반대하며 연대 의지를 다졌다.
현지 공영방송 NRK 등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14분쯤 도심의 유명 게이바인 ‘런던펍’을 비롯해 인근 3곳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이 총격으로 50대 남성 한 명과 60대 남성 한 명이 숨지고 21명이 부상했다. 부상자 중 10명은 상태가 위중해 사망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앞서 2011년 극우주의자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가 오슬로 도심과 인근 우퇴위아섬에서 총기를 난사해 77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래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이다.
경찰은 사건 발생 후 채 1시간도 안 돼 클럽 인근에서 총격범을 살인, 살인미수, 테러 혐의 등으로 체포했다. 현지매체들은 총격범이 42세 이란 쿠르드족 출신 노르웨이 국적 남성으로 유년 시절 노르웨이에 왔다고 전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단독 범행으로 보고 있다. 노르웨이 정보기관인 경찰치안국(PST)은 이번 공격을 “극단적인 이슬람 테러 행위”로 규정했다. 로게르 베르그 대테러국장은 총격범에게 폭력 전과 및 정신 건강 문제가 있으며, 한 이슬람 극단주의자 네트워크의 일원이라고 설명했다.
총격범이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지만 경찰은 성소수자 혐오가 범행 동기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이날 사건 발생 몇시간 뒤 열릴 예정이었던 프라이드 행사도 공격 대상이었는지 등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사건 이후 프라이드 행사 주최 측은 경찰의 권고를 받아들여 이날 예정된 모든 일정을 취소했다. PST는 테러 경계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비상’으로 올렸다.
테러 경보 발령에도 이날 사건 현장 인근에는 수천명이 연대의 뜻으로 거리행진을 벌였다. 이들은 “우리는 여기 있다, 우리가 퀴어(성소수자)다. 우리는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외쳤다. 한 50대 여성은 AFP통신에 “이런 행진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 놀랍다”면서 “우리가 행진하지 않으면 그(총격범)가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각지에서 거리행진 지지와 사건 희생자 애도가 잇따랐다. 노르웨이 하랄 5세 국왕은 이날 “우리는 자유, 다양성, 서로에 대한 존중을 지키기 위해 함께 서야 한다”며 행진 지지 의사를 밝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증오에 맞서 함께 연대한다면 우리는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성소수자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총격 사건에 충격을 받았다”면서 “우리의 마음은 희생자들과 성소수자, 노르웨이 국민들에게 가 있다”고 말했다.
노르웨이는 그간 성소수자 권리 보장에 앞장서왔다. 노르웨이 정부는 1993년 덴마크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동성결혼을 허용했으며, 지난 4월에는 남성 간 성관계를 범죄화하는 법률 폐지 50주년을 맞아 성소수자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박효재 기자 mann616@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법원, 윤 대통령 구속 연장 불허···“검찰 계속 수사 이유 있다고 보기 어려워”
-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에 비상 걸린 검찰···“석방은 검토 안 한다”
- “임시 공휴일 탓에 돌아버리겠네”···사장님들에게 무슨 일이
- 경찰, ‘전광훈 전담팀’ 구성···서울서부지법 폭동 배후 의혹 집중 수사
- 이준석 “전한길·황교안 토론하자···부정선거 음모론과 전쟁 선포”
- “내가 ‘국회요원’인지 몰랐어요” “계엄을 ‘게임’이라 우기겠네”
- 태국 동성혼 합법화 첫날, 1800쌍 혼인···64세·59세 커플 “이날만 기다렸다”
- [단독]서부지법 판사실 발로 찬 남성, 전광훈과 손배 재판 ‘공동 피고’
- “포고령 위법하지만 놔뒀다”는 윤 대통령, 왜 야간통행금지만 삭제 지시?
- 자장면 600원 시절, 6400억 어음 사기···‘큰손’ 장영자 5번째 옥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