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국정과제 6G 속도낸다..과기정통부 "국제표준 선점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국정과제인 차세대 이동통신인 '6G(세대)'를 비전을 국제회의에 보고하고 관련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 13~2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1차 국제전기통신연합 이동통신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6G 비전과 미래 기술 연구에 대한 6G 미래 기술 트렌드 보고서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무 의장국 비전 밝혀 "6G 주도권 잡을 것"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정부가 국정과제인 차세대 이동통신인 ‘6G(세대)’를 비전을 국제회의에 보고하고 관련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정책 행보를 가속화 하는 것이다.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 13~2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1차 국제전기통신연합 이동통신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6G 비전과 미래 기술 연구에 대한 6G 미래 기술 트렌드 보고서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오성준 고려대 교수가 참여한 가운데 6G 미래 기술 트렌드를 연구하는 실무그룹 공동 의장국을 맡고 있다. 우리나라는 6G 보고서에서 △인공지능 기술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과 지속가능성 향상 △보안 강화 △다양한 융합 서비스의 등장 등을 반영하기 위한 혁신적인 미래 기술 동향을 제시했다. 국내 6G 연구개발(R&D) 전략과 산·학·연 신기술 수요도 반영했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6G 비전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워크숍을 열고, ITU의 6G 비전 작업 경과를 소개했다. 이어 193개 ITU 회원국과 외부단체에 6G 비전 개발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 협력도 독려했다.
앞으로 정부는 보고서에 포함된 △인공지능(AI) 융합 통신, 센싱 융합 통신, 전이중 통신(전화처럼 데이터를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방식) 등 진화된 무선접속 기술 △디지털 트윈 지원, 커버리지 확대, 통신·컴퓨팅 융합 등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6G 목표 서비스와 비전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관련해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센싱·통신 협력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6G 서비스 시나리오도 논의 중이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우리나라는 ITU의 미래기술 및 6G 비전 논의를 주도해 글로벌 6G 주도권을 확보해 가고 있다”며 “앞으로 6G 비전 선도가 프리 6G 기술 확보와 6G 표준 선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훈길 (choigiga@edaily.co.kr)
Copyright©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보기 '지갑사수 작전'…못난이·반품 찾고 유통기한 기다리고
- 완도 실종 일가족… 아우디는 섬 안에, 3시간 차로 꺼진 휴대폰
- 추경호 "전기·가스·철도 등 공기업 민영화 절대 없다"
- 천정부지 기름값…10원이라도 싸게 넣으려면
- "정말 떳떳하냐" vs "병원비 내주기도"…옥주현 향한 엇갈린 증언
- 뭐든 과하면 '탈', 발기부전 초래하는 음식이 있다는데?
- ‘풀소유’ 논란 혜민스님, 2년 만에 전해진 뜻밖의 근황은…
- 동아리 회원 성추행한 명문대 의대생…휴대폰엔 불법촬영물
- 지이수, 원빈과 골프장 투샷…"찐웃음 폭발"
- 北, 5년만 반미 군중집회 “건드리면 무자비하게 소멸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