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자는 왜 '전문직'이어야 하나

김달아 2022. 6. 26. 07: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0년 전 기자가 막 됐을 때 직업란에 '전문직'이라고 쓰곤 했다.

그저 고등학생일 때부터 기자를 꿈꿔온 내 머릿속에 이 직업은 전문직으로 박혀 있었다.

10년 전에 '기자는 전문직'이라며 스스로 내세웠던 근거가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 셈이다.

비록 직업란에는 '회사원'으로 적더라도 기자는 전문직이라고 굳게 믿고 싶은 이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언론에 대한 반감이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역으로 생각하면 '좋은 언론'을 향한 갈구는 더 커지고 있다는 의미이겠지요. 매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곧 '미디어 리터러시'가 중요해지는 시대, 우리 언론의 방향을 모색합니다.
취재 노하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는다. 사진은 한 기자회견 모습. ⓒ국회사진취재단

10년 전 기자가 막 됐을 때 직업란에 ‘전문직’이라고 쓰곤 했다. 왜 그랬냐고 묻는다면, 명쾌한 이유를 대지는 못할 것 같다. 그저 고등학생일 때부터 기자를 꿈꿔온 내 머릿속에 이 직업은 전문직으로 박혀 있었다. 기자가 되는 과정은 ‘언론고시’로 불릴 만큼 바늘구멍이니까, 기자가 되어서도 혹독한 수습 생활을 거쳐야 하니까, 취재와 기사 쓰기는 아무나 할 수 없는 거니까, 개인이나 회사의 이익보다는 공익을 우선해야 하니까. 나름대로 이런 생각을 근거 삼아 전문직이라고 여긴 듯하다.

그렇다면 요즘은? 망설임 없이 ‘회사원’으로 적는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한 회사에 고용되어 매달 봉급을 받으니 틀린 말은 아니다. 입사 초반엔 전문직이 된 듯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취재하고 보도하는 일이 전문적인가? 물론 취재 노하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는다.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뉴스 가치를 발굴하고 정돈된 문장으로 기사를 작성하는 일도 마찬가지다. 기사를 최종 출고하기까지도 숙련자의 손을 여러 번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을 꼭 전문직만이 할 수 있나? 한 해 두 해 지날수록 분명해졌다. 전문직으로 불릴 만한 기자는 많지만 모든 기자가 그 대상은 아니다. 슬프게도, 나도 아니다.

인터넷 오픈 백과사전에서 전문직을 규정하는 몇 가지 기준을 발견했다. 기자를 적용해봤다. 먼저, 협회가 존재하나? 그렇다(여러 단체가 있는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한국기자협회다). 풀타임 직업인가? 대체로 그렇다. 특별한 교육을 받나? 언론사마다 다르다. 체계화된 전문 지식을 가지고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나? 그럴 때가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아니다 쪽에 가까운 것 같다. 국가 자격·면허 등이 존재하나? 아니다. 사회적 특권을 누리나? 과거에 그랬을지 몰라도 지금은 전혀 아니다. 특권은커녕 일상적으로 쓰레기에 비유되는 요즘 기자들을 보면 기자는 전문직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온다.

현장취재 없이 컴퓨터 앞에서만 수습 기간 보내기도

나는 이 결론을 수긍할 수밖에 없다. 일단 그때보다 기자 되기가 수월해졌다. 대형 언론사 입사는 여전히 고시만큼 어렵지만, 매체 수 자체가 크게 늘어 전체적으로 기자 채용 문턱이 낮아졌다. 문화체육관광부에 정기간행물로 등록한 매체는 2012년 1만4500곳에서 2021년 2만3700곳으로 10년 새 50% 넘게 증가했다. 현장취재 경험 없이 컴퓨터 앞에서만 수습 기간을 보내고 곧바로 정식 기자가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기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취재하고 기사를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이제는 안다. 기자 명함을 이용해 사익을 챙기거나 공익과 한참이나 먼 기사를 쓰는 이들도 목격한다. 10년 전에 ‘기자는 전문직’이라며 스스로 내세웠던 근거가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 셈이다.

기자가 전문직이라는 인식은 결국 착각이거나 허상이었을까. 그렇지 않다고 믿는다. 조금 전까지 기자는 전문직이 아니라고 해놓고 무슨 말 바꾸기냐 싶겠지만, 허상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양심, 자부심은 어느 직업에나 의미 있지 않겠는가. 기자는 여기에 공익이라는 더 큰 무언가를 짊어지고 있다. 비록 직업란에는 ‘회사원’으로 적더라도 기자는 전문직이라고 굳게 믿고 싶은 이유다.

김달아(⟨기자협회보⟩ 기자) editor@sisain.co.kr

▶읽기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습관 [시사IN 구독]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